[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조회 수 3409 추천 수 62 2007.05.22 10:18:07
곧, '줄기와 잎은 물론 알곡까지 다' 소먹이로 쓰는 보리를
영어로 whole-crop barley라고 하는데 이를 우리말로 바꾼 게 '총체보리'입니다.


안녕하세요.

보릿고개 아시죠?
햇보리가 나올 때까지의 넘기 어려운 고개라는 뜻으로,
묵은 곡식은 거의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아니하여 농촌의 식량 사정이 가장 어려운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바로 요즘이 그 보릿고개입니다.

여러분은 보리 하면 떠오르는 게 뭔가요?
대부분 보릿고개와 보리밥이죠?
먹을 게 없었던 우리네 부모들의 아픔이죠.
쌀밥을 먹을 수 없을 때 주린 배를 채우고자 먹었던 보리가
요즘은 참살이(웰빙)바람을 타고 당뇨병 같은 성인병에 좋은 건강식으로 노릇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생각보다 소비가 많지 않아 땅을 놀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보리를 많이 심어 보리쌀을 많이 만들어 봐야 찾는 사람들이 없으면 팔 수 없으니 농민들이 보리를 심지 않게 되는 거죠.

그랬던 보리가 요즘 다시 돌아오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람이 먹으려고 심었던 보리를 지금은 가축을 먹이려고 키웁니다.

보리의 이삭이 누렇게 변하기 시작할 때, 바로 요즘,
줄기와 잎은 물론 알곡까지 다 거둬들여 소가 먹기 좋게 만들어 놓습니다.
이런 보리,
곧, '줄기와 잎은 물론 알곡까지 다' 소먹이로 쓰는 보리를
영어로 whole-crop barley라고 하는데 이를 우리말로 바꾼 게 '총체보리'입니다.
보리 줄기와 잎, 알곡까지 '총체'적으로 다 쓴다는 뜻이죠.
총체(總體)가 "있는 것들을 모두 하나로 합친 전부 또는 전체."라는 뜻이잖아요.

보릿고개를 넘기며 배고파했던 시절이 불과 30여 년 전인데,
지금은 그 보리를 소에게 먹이고 있습니다. ^^*

이 총체보리는,
농민은 보리를 재배해서 돈을 벌어 좋고,
소를 키우는 축산농가는 소에게 좋은 먹이를 먹여 고급 한우를 생산할 수 있어 좋고,
정부는 소먹이를 수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외화를 절약해서 좋고,
국민은 혹시 있을지 모를 광우병 같은 가축전염병을 걱정하지 않아서 좋고...
일석이조가 아니라 일석사조입니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도랑치고 가재 잡고,
마당 쓸고 돈 줍고...

요즘은 농업도 이렇게 변하고 있답니다.

더 자세한 것은 1544-8572? ?전화하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1544-8572는 '일어서서 바로처리'한다는 농촌진흥청 민원인 전용 전화입니다.
정부민원안내 전화상당실 110으로 전화하셔도 됩니다.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닭 벼슬 >> 닭 볏]

주말 잘 보내고 계시나요?
저는 오늘 일이 좀 있어서 출근했습니다.
오늘도 우리말편지 하나 보내고 일을 시작하면 일이 잘될 것 같습니다.

어제는 가족과 함께 찜질방에 가서 온종일 놀았습니다.
저녁에 집에 돌아와 텔레비전을 보는데,
첫 마디부터 귀에 걸리네요.

KBS2에서 하는 스펀지라는 프로그램에서,
길게 우는 닭을 소개하면서,
그 닭은 걷는 것도 우아하고, '벼슬'도 품위가 있다고 소개하더군요.

'벼슬'이 뭐죠?
'벼슬'은 '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입니다.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은,
'벼슬'이 아니라 '볏'입니다.

내용이 좋아 자주 보는 프로그램이고,
성우 목소리도 좋아 편하게 보는 프로그램인데......

내용도 좋고, 맞춤법도 잘 맞는 방송을 기대하는 제 꿈이 너무 큰가요?

이제 일이나 시작하렵니다.
빨리 마치고 들어가서 딸내미와 함께 놀아야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78
1476 [2013/10/29]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3-10-29 3423
1475 [2015/03/24] 우리말) 꽃샘과 잎샘 머니북 2015-03-24 3423
1474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424
1473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25
1472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425
1471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25
1470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426
1469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27
1468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427
1467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27
1466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28
1465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28
1464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3428
1463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428
1462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429
1461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429
1460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30
1459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30
1458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3431
1457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