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조회 수 3374 추천 수 98 2007.05.31 09:29:53
정리하면,
'거나하다'는 술 취한 것을 뜻하고,
'건하다'는 넉넉한 것을 뜻합니다.
다만'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이므로 건하게 취한 얼굴도 말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왔습니다.
어제저녁에 술을 마셨거든요.

어제저녁은 그동안 우리 과에서 일했던 머드러기 박남건 박사가 제주도 난지농업연구소로 돌아가는 것을 축하하는 자리였습니다.
3년이 넘게 타향에서 남들을 위해 고생하다
이제야 돌아가게 된 박 박사님의 눈가가 촉촉하더군요.

어제는 다들 건하게 먹었습니다.
그러니 다들 거나해졌죠. 해닥사그리한겁니다.

오늘은 건하다와 거나하다를 알아볼게요.

흔히,
저녁을 푸짐하게 먹었을 때 '거나하게 먹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건하게 먹었다'고 해야 합니다.

'건하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아주 넉넉하다."는 뜻입니다.
'거한 술자리'는 '건한 술자리'라고 해야 하고,
'거한 환송회'는 '건한 환송회'라고 해야 합니다.
어젯밤 박 박사님 환송회 때 건하게 먹었습니다. ^^*

'거나하다'도
그림씨(형용사)로 "술 따위에 취한 그 기운이 몸에 돌기 시작하는 상태에 있다."는 뜻입니다.
거나한 목소리, 거나하게 취한 얼굴, 술기운이 거나하게 돌다처럼 씁니다.
어젯밤에 건하게 먹고 거나한 얼굴로 들어갔습니다. ^^*
이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입니다.
앞에서 본 넉넉하다는 것과 같은 '건하다'죠.

그래서 헷갈리나 봅니다.

정리하면,
'거나하다'는 술 취한 것을 뜻하고,
'건하다'는 넉넉한 것을 뜻합니다.
다만'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이므로 건하게 취한 얼굴도 말이 됩니다.

다시 한번
박남건 박사님의 복귀를 축하드리고,
박 박사님의 앞날에 항상 기쁨과 행복이 함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분향소/빈소]

어떤 분은 저에게 조심스럽게 조언을 하십니다.
하루에 두 번씩 우리말편지를 보내면 읽는 사람이 소화불량에 걸린다고...
그러나 저는 꼭 보내고 싶은 내용을 보내지 않으면,
밤에 잠이 안 오고,
낮에는 일이 손에 잡히지 않습니다.
아마 어젯밤에 상상플러스 내용을 보내지 않았으면 잠을 자지 못했을 것이고,
지금 이 우리말편지를 보내지 않으면 오늘 하루가 편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제가 싫으시면 '수신거부'를 살포시 눌러주세요.

오늘은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이셨던 고 이종욱 님의 장례가 있는 날입니다.
평생을 빈곤국가에서 의료봉사를 하고,
세계보건기구에 몸을 바친 고 이종욱 사무총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소식에
세계가 애도의 뜻을 전하고 있습니다.

저도 그 애도에 동참하면서,
'빈소'와 '분향소'의 차이를 알아볼게요.

'빈소'는,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방'으로,
사람이 죽으면 빈소는 한 군데밖에 없습니다.
고 이종욱 님의 빈소는 아마도 제네바에 있을 겁니다.

'분향소'는,
'영정을 모셔놓고 향을 피우면서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곳'으로,
여기저기에 많이 차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 이종욱 님의 분향소가 UN 본부에도 있고, 서울대학교에도 있을 수 있는 겁니다.

어제, 5월 23일 자 경향신문 1면에 '이종욱 WHO 사무총장 순직'이라는 꼭지의 기사가 있는데,
맨 끝 문장이,
'빈소는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 의대 구내 함춘회관 1층 사랑방에 마련됐다.'이네요.

아마도,
기사를 쓴 기자가 '빈소'와 '분향소'를 착각했나 봅니다.

서울대 의대에 있는 것은,
고 이종욱 님의 시신이 있는 '빈소'가 아니라,
명복을 비는 '분향소'입니다.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애도(哀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8
1476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426
1475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27
1474 [2014/04/17] 우리말) 풋낯 머니북 2014-04-17 3427
147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28
1472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3429
1471 [2010/10/25] 우리말) 매무새와 매무시 moneybook 2010-10-25 3429
1470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29
1469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29
1468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429
1467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430
1466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430
1465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30
1464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31
1463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32
1462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32
1461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3432
1460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432
1459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3433
1458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433
1457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