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조회 수 3415 추천 수 98 2007.05.31 09:29:53
정리하면,
'거나하다'는 술 취한 것을 뜻하고,
'건하다'는 넉넉한 것을 뜻합니다.
다만'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이므로 건하게 취한 얼굴도 말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왔습니다.
어제저녁에 술을 마셨거든요.

어제저녁은 그동안 우리 과에서 일했던 머드러기 박남건 박사가 제주도 난지농업연구소로 돌아가는 것을 축하하는 자리였습니다.
3년이 넘게 타향에서 남들을 위해 고생하다
이제야 돌아가게 된 박 박사님의 눈가가 촉촉하더군요.

어제는 다들 건하게 먹었습니다.
그러니 다들 거나해졌죠. 해닥사그리한겁니다.

오늘은 건하다와 거나하다를 알아볼게요.

흔히,
저녁을 푸짐하게 먹었을 때 '거나하게 먹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건하게 먹었다'고 해야 합니다.

'건하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아주 넉넉하다."는 뜻입니다.
'거한 술자리'는 '건한 술자리'라고 해야 하고,
'거한 환송회'는 '건한 환송회'라고 해야 합니다.
어젯밤 박 박사님 환송회 때 건하게 먹었습니다. ^^*

'거나하다'도
그림씨(형용사)로 "술 따위에 취한 그 기운이 몸에 돌기 시작하는 상태에 있다."는 뜻입니다.
거나한 목소리, 거나하게 취한 얼굴, 술기운이 거나하게 돌다처럼 씁니다.
어젯밤에 건하게 먹고 거나한 얼굴로 들어갔습니다. ^^*
이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입니다.
앞에서 본 넉넉하다는 것과 같은 '건하다'죠.

그래서 헷갈리나 봅니다.

정리하면,
'거나하다'는 술 취한 것을 뜻하고,
'건하다'는 넉넉한 것을 뜻합니다.
다만'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이므로 건하게 취한 얼굴도 말이 됩니다.

다시 한번
박남건 박사님의 복귀를 축하드리고,
박 박사님의 앞날에 항상 기쁨과 행복이 함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분향소/빈소]

어떤 분은 저에게 조심스럽게 조언을 하십니다.
하루에 두 번씩 우리말편지를 보내면 읽는 사람이 소화불량에 걸린다고...
그러나 저는 꼭 보내고 싶은 내용을 보내지 않으면,
밤에 잠이 안 오고,
낮에는 일이 손에 잡히지 않습니다.
아마 어젯밤에 상상플러스 내용을 보내지 않았으면 잠을 자지 못했을 것이고,
지금 이 우리말편지를 보내지 않으면 오늘 하루가 편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제가 싫으시면 '수신거부'를 살포시 눌러주세요.

오늘은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이셨던 고 이종욱 님의 장례가 있는 날입니다.
평생을 빈곤국가에서 의료봉사를 하고,
세계보건기구에 몸을 바친 고 이종욱 사무총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소식에
세계가 애도의 뜻을 전하고 있습니다.

저도 그 애도에 동참하면서,
'빈소'와 '분향소'의 차이를 알아볼게요.

'빈소'는,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방'으로,
사람이 죽으면 빈소는 한 군데밖에 없습니다.
고 이종욱 님의 빈소는 아마도 제네바에 있을 겁니다.

'분향소'는,
'영정을 모셔놓고 향을 피우면서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곳'으로,
여기저기에 많이 차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 이종욱 님의 분향소가 UN 본부에도 있고, 서울대학교에도 있을 수 있는 겁니다.

어제, 5월 23일 자 경향신문 1면에 '이종욱 WHO 사무총장 순직'이라는 꼭지의 기사가 있는데,
맨 끝 문장이,
'빈소는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 의대 구내 함춘회관 1층 사랑방에 마련됐다.'이네요.

아마도,
기사를 쓴 기자가 '빈소'와 '분향소'를 착각했나 봅니다.

서울대 의대에 있는 것은,
고 이종욱 님의 시신이 있는 '빈소'가 아니라,
명복을 비는 '분향소'입니다.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애도(哀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94
1116 [2008/02/14] 우리말) 꼴등과 꽃등 id: moneyplan 2008-02-14 3425
1115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24
1114 [2010/04/13] 우리말) 발자욱과 발자국 id: moneyplan 2010-04-13 3424
1113 [2009/11/05]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9-11-05 3424
1112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3424
1111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3423
1110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422
1109 [2016/01/11] 우리말) 굼적/꿈적/꿈쩍 머니북 2016-01-11 3421
1108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421
1107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421
1106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20
1105 [2015/08/19] 우리말) 농업용어도 광복을 맞이해야 한다 머니북 2015-08-19 3420
1104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419
1103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419
1102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418
1101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18
1100 [2011/01/26] 우리말) 설과 구정 moneybook 2011-01-26 3418
1099 [2008/01/25] 우리말) 뇌꼴스럽다 id: moneyplan 2008-01-25 3418
1098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18
1097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