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조회 수 3287 추천 수 53 2007.06.05 08:32:50
교과서에는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이라고 나와 있지만
맞춤법규정에 따르면 최댓값, 최소값, 절댓값이 맞습니다.
최대, 최소, 절대가 한자지만 값이 순 우리말이라서 두 낱말이 합쳐져 한 낱말이 될 때 사이시옷을 넣어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곳에서 차를 빌려서 타는데 기름값이 싸서 참 좋네요.
우리나라에서는 '휘발유 값 사상 최고치 눈앞'이라는 기사를 며칠 전에 본 것 같은데...
어쩌려고 이렇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기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학교에서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 따위를 배웠습니다.
그 뜻이 뭔지는 다 아실 것이고,
오늘은 그 쓰기입니다.
교과서에는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이라고 나와 있지만
맞춤법규정에 따르면 최댓값, 최소값, 절댓값이 맞습니다.
최대, 최소, 절대가 한자지만 값이 순 우리말이라서 두 낱말이 합쳐져 한 낱말이 될 때 사이시옷을 넣어줘야 합니다.

이렇게 교육부에서 만든(?) 교과서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맞춤법이 달랐다가,
작년 6월 교육인적자원부와 국립국어원이
현행 어문규정에 따라 표기법을 단일화하기로 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교과서에 최대값이라고 나올지라도 앞으로 만들 교과서에는 최댓값이라고 나올 겁니다.

그러나
'최고치'는 '최곳치'가 아니라 '최고치'가 맞습니다.
왜냐하면, 뒤에 오는 낱말이 된소리(ㄲ,ㄸ,ㅃ,ㅆ,ㅉ)나 거센소리(ㅊ,ㅋ,ㅌ,ㅍ)이면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이미 알고 계셨죠?

제발 휘발유값이 더는 오르지 않기만을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건데기 >> 건더기]

어제는 전투가 좀 치열했습니다.
오늘, 아침밥을 먹으면서,
밥 몇 술과 국물만 끼적끼적 억지로 먹었더니,
이를 본 딸내미가 저에게 한마디 하네요.

'아빠, 국물만 먹지 말고 건데기도 먹어야 키가 쑥쑥 크지!'
평소 엄마에게 들었던 말을 때를 잘 맞춰 저에게 써먹네요.

속은 쓰리지만 어찌나 귀여운지...
그 김에 한 수 가르쳐줬죠.

'아빠에게는 먹는다고 안 하고 드신다고 해야 하고,
이건 '건데기'가 아니라 '건더기'고,
어른에게는 크가 쑥쑥 큰다고 하지 않고 건강하시다고 해야 하는 거야, 알았지?, 자 다시 해봐!'

세상 밖에 나와 31개월 동안 열심히 살아온 딸내미가,
한참을 생각하더니, 드디어 입을 열더군요.

'아빠, 국물만 드시지 말고 건더기도 드셔야......
.
.
.
.
.
.
.
.
.
.
.
.
.
.
술이 빨리 깨지!!!! '

허걱!,
저 술 다 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10
1256 [2013/07/23] 우리말) 자동차와 개미지옥 머니북 2013-07-23 3429
1255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429
1254 [2016/03/24] 우리말) 구실 머니북 2016-03-25 3428
1253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428
1252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3427
1251 [2008/11/11] 우리말) 겹말 id: moneyplan 2008-11-11 3427
1250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3427
124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426
1248 [2009/09/0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09 3426
1247 [2008/01/11] 우리말) ‘감옥’과 ‘죄수’에 대하여 id: moneyplan 2008-01-11 3426
1246 [2010/12/16] 우리말) 웃옷 moneybook 2010-12-16 3425
1245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424
1244 [2014/03/05] 우리말) 잊다와 잃다(2) 머니북 2014-03-06 3423
1243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3423
1242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422
1241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3421
1240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3421
1239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21
1238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3421
123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