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조회 수 3412 추천 수 53 2007.06.05 08:32:50
교과서에는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이라고 나와 있지만
맞춤법규정에 따르면 최댓값, 최소값, 절댓값이 맞습니다.
최대, 최소, 절대가 한자지만 값이 순 우리말이라서 두 낱말이 합쳐져 한 낱말이 될 때 사이시옷을 넣어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곳에서 차를 빌려서 타는데 기름값이 싸서 참 좋네요.
우리나라에서는 '휘발유 값 사상 최고치 눈앞'이라는 기사를 며칠 전에 본 것 같은데...
어쩌려고 이렇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기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학교에서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 따위를 배웠습니다.
그 뜻이 뭔지는 다 아실 것이고,
오늘은 그 쓰기입니다.
교과서에는
최대값, 최소값, 절대값이라고 나와 있지만
맞춤법규정에 따르면 최댓값, 최소값, 절댓값이 맞습니다.
최대, 최소, 절대가 한자지만 값이 순 우리말이라서 두 낱말이 합쳐져 한 낱말이 될 때 사이시옷을 넣어줘야 합니다.

이렇게 교육부에서 만든(?) 교과서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맞춤법이 달랐다가,
작년 6월 교육인적자원부와 국립국어원이
현행 어문규정에 따라 표기법을 단일화하기로 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교과서에 최대값이라고 나올지라도 앞으로 만들 교과서에는 최댓값이라고 나올 겁니다.

그러나
'최고치'는 '최곳치'가 아니라 '최고치'가 맞습니다.
왜냐하면, 뒤에 오는 낱말이 된소리(ㄲ,ㄸ,ㅃ,ㅆ,ㅉ)나 거센소리(ㅊ,ㅋ,ㅌ,ㅍ)이면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이미 알고 계셨죠?

제발 휘발유값이 더는 오르지 않기만을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건데기 >> 건더기]

어제는 전투가 좀 치열했습니다.
오늘, 아침밥을 먹으면서,
밥 몇 술과 국물만 끼적끼적 억지로 먹었더니,
이를 본 딸내미가 저에게 한마디 하네요.

'아빠, 국물만 먹지 말고 건데기도 먹어야 키가 쑥쑥 크지!'
평소 엄마에게 들었던 말을 때를 잘 맞춰 저에게 써먹네요.

속은 쓰리지만 어찌나 귀여운지...
그 김에 한 수 가르쳐줬죠.

'아빠에게는 먹는다고 안 하고 드신다고 해야 하고,
이건 '건데기'가 아니라 '건더기'고,
어른에게는 크가 쑥쑥 큰다고 하지 않고 건강하시다고 해야 하는 거야, 알았지?, 자 다시 해봐!'

세상 밖에 나와 31개월 동안 열심히 살아온 딸내미가,
한참을 생각하더니, 드디어 입을 열더군요.

'아빠, 국물만 드시지 말고 건더기도 드셔야......
.
.
.
.
.
.
.
.
.
.
.
.
.
.
술이 빨리 깨지!!!! '

허걱!,
저 술 다 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4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84
1256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706
1255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4182
1254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708
1253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4173
1252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730
1251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3468
1250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739
1249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43
1248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447
1247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700
1246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33
1245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573
1244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74
1243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811
1242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43
1241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60
1240 [2011/05/17] 우리말) 뜬금없다 moneybook 2011-05-17 3729
1239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44
1238 [2011/05/13] 우리말) 안전띠 moneybook 2011-05-14 3650
1237 [2011/05/12] 우리말) 달뜨다와 주니 moneybook 2011-05-12 3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