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7] 우리말) 함박꽃

조회 수 3705 추천 수 53 2007.06.07 09:54:26
요즘 밖에 보면 작약이 많이 피어있을 겁니다.
함박꽃 작(芍) 자와 약 약(藥) 자를 써서 '작약'이라 합니다.
곧, 함박 웃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작약입니다.
당연히 함박꽃이 작약입니다.


안녕하세요.

딸내미와 떨어진 지 한참 되어서 애가 무척 보고 싶네요.
저를 보면 활짝 웃으면서 달려올텐데...

오늘은 제 딸을 생각하면서 편지를 쓸게요.
요즘 밖에 보면 작약이 많이 피어있을 겁니다.
함박꽃 작(芍) 자와 약 약(藥) 자를 써서 '작약'이라 합니다.
곧, 함박 웃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작약입니다.
당연히 함박꽃이 작약입니다.

우리 사전에 '함박'이 "크다"는 뜻으로 올라있지는 않지만,
분명히 크고 탐스럽다는 뜻이 들어 있을 겁니다.
그래서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이 '함박눈'이고,
"크고 환하게 웃는 웃음"이 '함박웃음'이잖아요.

주먹만큼이나 큰 꽃송이,
집 뜰에 두어 송이만 피어도 집안이 환해지고,
보기만 해도 저절로 함박웃음이 지어지는 함박꽃.

이 함박꽃과 모란을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아주 쉽게 가르는 방법은,
함박꽃은 풀이라 겨울에 땅 위에 있는 줄기 부분이 죽었다가 봄에 새순이 돋고,
모란은 나무라 겨울에 땅 위에 있는 줄기 부분이 살아 있습니다.
따라서 지난겨울에 보이지 않던 식물이 봄에 새싹을 돋아 꽃을 피우면 그것은 함박꽃입니다. ^^*
그리고 함박꽃보다 모란이 조금 먼저 핍니다.

내일이면 돌아갑니다.
곧 딸의 함박웃음을 볼 수 있겠죠? ^^*

우리말123

보태기)
모란을 목단이라고도 하는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모란과 목단 모두 표준어로 나와 있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두남두다]

오늘도 제 딸내미 이야깁니다.
그동안은 31개월 된 딸내미가 무슨 행동을 하건 잘했다고 칭찬하고 안아줬는데,
며칠 전부터는 슬슬 꾸중도 하고 잘못도 꼬집어 주고 있습니다.
잠자기 전에 우유를 달라고 하면 떼를 써도 주지 않고,
사탕을 달라고 하면 10분 뒤에 주겠다고 하면서 기다리게도 하고...

제 자식이라 제가 보기에는 떼쓰는 것도 예뻐 보이지만,
남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지만은 않잖아요.
또 세상을 자기 고집대로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너무 두남두다 보면 애 버릇 나빠지죠.

오늘은 '두남두다'는 우리말을 소개드릴게요.
'두남두다'는,
'잘못을 감싸고 두둔하다.'는 뜻으로,
자식을 무작정 두남두다 보면 버릇이 나빠진다, 아무리 못나도 자기 남편이라고 두남두는 모양이로구나처럼 쓰고,
'애착을 가지고 돌보다.'는 뜻도 있는데,
자기편을 두남두다처럼 씁니다.

먹고 싶은 우유나 사탕을 먹지 못해 애태우는 딸내미를 보는 제 가슴은 애끓듯 아프지만,
나중을 위해 그런 버릇은 어려서부터 잡아야죠.
제 딸이 훗날 사회에 나가 제 몫을 다 하는 사람이 되도록,
제 자식을 두남두며 키우지는 않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63
1336 [2011/10/24] 우리말) 빨간 단풍 머니북 2011-10-24 4908
1335 [2011/10/25] 우리말) 맨송맨송과 맹숭맹숭 머니북 2011-10-25 4306
1334 [2011/10/26] 우리말) 새초롬하다와 새치름하다 [1] 머니북 2011-10-26 8274
1333 [2011/10/27] 우리말) 아웅다웅 머니북 2011-10-27 3827
1332 [2011/10/28] 우리말) 입구와 출구 머니북 2011-10-28 3910
1331 [2011/10/31] 우리말) '입구와 출구'를 읽고 머니북 2011-10-31 3842
1330 [2011/11/01]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머니북 2011-11-01 4399
1329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624
1328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556
1327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801
1326 [2011/11/0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1-11-07 3918
1325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552
1324 [2011/1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11-09 3987
1323 [2011/11/10] 우리말) 책 소개(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1-10 3922
1322 [2011/11/11] 우리말) 수산용어 다듬기 머니북 2011-11-11 3969
1321 [2011/11/14] 우리말) 막히다와 밀리다 머니북 2011-11-14 3865
1320 [2011/11/16] 우리말) 빼꼼과 빠끔 머니북 2011-11-16 4193
1319 [2011/11/17] 우리말) 닭 벼슬과 닭 볏 머니북 2011-11-17 4176
1318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400
1317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