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는
'oo까지 꼭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나
'oo까지 날짜를 지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로 바꿔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공문서에 있는 잘못된 점을 꼬집는데요.
오늘도 그런 것을 하나 짚어야겠네요.

며칠 전에 받은 공문을 보니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되어 있네요.

'공문서'는
"공공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작성한 서류"입니다.
당연히 깨끗한 우리말을 써야 하고 공문을 받는 기관이나 사람에게 예의를 갖춰야 합니다.
관공서에서 보낸 문서라고 권위를 내세우면 안 됩니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관공서가 국민에게 권위를 내세웁니까?

엄수(嚴守)는
"명령이나 약속 따위를 어김없이 지킴"이라는 뜻이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꼭 지킴'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국가기관인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말을
같은 국가기관이 공문을 보내면서 쓰면 안 되죠.
그건 세금 낭비로 국민의 따끔한 꾸중을 들어도 쌉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아직 다듬지 않은 말도 앞장서서 다듬어 써야 할 곳이 바로 관공서입니다.
깨끗한 우리말로 글을 써야 하는 게 바로 공문서고요.
그래야 세금으로 월급 받는 사람이 제 할 일 다 하는 겁니다.
'엄수'라는 쓰레기 낱말을 쓰면서 권위를 앞세운 공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는
'oo까지 꼭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나
'oo까지 날짜를 지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로 바꿔쓰시면 됩니다.

공무원이 똑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섭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대일 >> 이 대 일]

짜릿한 역전승 보셨죠?
참 멋진 경기였습니다.

요즘 국민의 모든 신경이 월드컵 경기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부화뇌동(附和雷同)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이번 기회에 경기와 관련 있는 우리말이나 맞춤법을 소개하는 것도 뜻깊은 일인 것 같아,
월드컵 기간에는 그런 우리말이나 맞춤법을 중심으로 우리말편지를 쓸게요.

다음 경기도 '이대일'로 이기길 빌면서,
오늘은 '이대일'의 띄어쓰기를 알아볼게요.

여기에 쓰인 '대'는,
대할 대(對), 또는 상대 대 자로,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을 뜻합니다.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 개인 대 개인, 지상 대 공중, 청군 대 백군처럼 앞 낱말과 띄어 씁니다.

따라서,
이대일도,
'이 대 일'로 띄어 써야 합니다.

다음 경기도,
이 대 일로 이기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6
1096 [2014/11/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머니북 2014-11-14 3460
1095 [2009/02/08] 우리말) 월파와 달물결 id: moneyplan 2009-02-09 3460
1094 [2008/12/05] 우리말) 강추위 id: moneyplan 2008-12-05 3460
1093 [2017/03/13] 우리말) 인용 머니북 2017-03-13 3459
1092 [2015/08/28] 우리말) 백중 머니북 2015-08-31 3459
1091 [2010/09/01] 우리말) 해포 moneybook 2010-09-01 3459
1090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459
1089 [2007/04/25] 우리말) 잘과 잘못 id: moneyplan 2007-04-25 3459
1088 [2012/05/17] 우리말) 스마트워크센터 머니북 2012-05-17 3458
1087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458
1086 [2014/01/28] 우리말) 우리말 속 일본말 머니북 2014-01-28 3457
1085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457
1084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56
1083 [2015/10/14] 우리말) 들러/들려 머니북 2015-10-15 3456
1082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3455
1081 [2017/02/06] 우리말) 바둑에서 온 낱말 머니북 2017-02-07 3455
1080 [2016/01/14] 우리말) 게으르다/개으르다 머니북 2016-01-17 3455
1079 [2014/01/20] 우리말) 건달, 놈팡이, 깡패는 다국적 언어 머니북 2014-01-20 3455
1078 [2008/07/24] 우리말) 얄짤없다 id: moneyplan 2008-07-25 3455
1077 [2014/03/25] 우리말) 케케묵다 머니북 2014-03-25 3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