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조회 수 3471 추천 수 47 2007.06.18 08:56:00
정리하면,
'맏'이나 '맏이'는 '제일 큰, 첫 번'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이지만,
사람에게 쓸 때,
'맏'은 친족관계에만 쓰고,
'맏이'는 혈연관계가 없어도 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회사 동료 아버님 칠순잔치에 다녀왔습니다.
화목한 식구들의 모습이 참 보기 좋더군요.

식구 모임에는 항상 '맏이'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걸 좀 볼게요.

"여러 형제자매 가운데서 제일 손위인 사람"을 '맏이'라고 합니다.
'맏'은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맏이'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입니다.
맏며느리, 맏사위, 맏손자, 맏아들처럼 쓰고,
'내가 맏이이니 집에 의지할 장정 식구란 없는 셈이었다.'처럼 씁니다.

'맏'은 몇몇 이름씨(명사) 앞에 붙어 "그해에 처음 나온"이라는 뜻을 더하기도 합니다.
맏나물, 맏배가 그런 것이죠.

'맏이'에도 다른 뜻이 있습니다.
"나이가 남보다 많음. 또는 그런 사람."이라는 뜻이 있죠.
흰머리가 많은 그를 나보다 10년 맏이로 보는 사람이 많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맏'이나 '맏이'는 '제일 큰, 첫 번'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이지만,
사람에게 쓸 때,
'맏'은 친족관계에만 쓰고,
'맏이'는 혈연관계가 없어도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쓰다 보니 갑자기 떠오르는 책이 있습니다.
MBC 윤영무 기자가 쓴 '대한민국에서 장남으로 살아가기'라는 책입니다.
글귀 하나하나가 가슴에 와 닿았고, 대한민국의 모든 여자가 다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요즘도 그 책이 나오는지는 모릅니다. ^^*
근데
요즘 윤영무 기자님이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으시던데......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오늘 박지성 선수 참 잘했죠?
박지성 선수가 맘에 들어 오늘은 우리말편지를 하나 더 보냅니다.

세계일보 6월 15일자 15면에,
‘박지성, 그대 있으매...’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네요.
그 제목을 보시고 혹시 틀린 게 아닌가 해서 저에게 편지를 주신 분이 계십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는 맞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순간 저도 그렇게 외치고 싶습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박지성, 그대 있으매...'는,
박지성, 그대가 있기 때문에라는 뜻입니다.
'어떤 일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는 '-음에'나 '-ㅁ에'가 아니라,
'-(으)매'입니다.
따라서,
'그대 있음에'가 아니라 '그대 있으매'가 맞습니다.

내가 해 준 요리를 그가 맛있게 먹으매 마음이 흡족했다, 강이 깊으매 큰 고기가 살고 덕이 넓으매 인물이 모여드니라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가 있기 때문에, '-하기 때문에'라는 뜻으로 쓸 때는,
'-음에'가 아니라 '-(으)매'를 써야 합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스위스전도 끄떡없다!!!

대~한민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0
1616 [2009/08/31]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8-31 3443
1615 [2009/11/05]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9-11-05 3443
1614 [2011/04/21] 우리말) 우리말 ^^* moneybook 2011-04-21 3443
1613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443
1612 [2014/04/18] 우리말) 해포이웃 머니북 2014-04-18 3443
1611 [2015/08/19] 우리말) 농업용어도 광복을 맞이해야 한다 머니북 2015-08-19 3443
1610 [2008/12/20] 우리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저와 사진을 찍어주셔야 합니다. ^^* id: moneyplan 2008-12-22 3444
1609 [2014/03/25] 우리말) 케케묵다 머니북 2014-03-25 3444
1608 [2017/02/03] 우리말) 조류포비아 머니북 2017-02-03 3444
1607 [2008/03/17]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3-17 3445
1606 [2011/04/19] 우리말) 나라꽃 무궁화 moneybook 2011-04-19 3445
1605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445
1604 [2014/01/17] 우리말) 메모와 적바림 머니북 2014-01-17 3445
1603 [2014/01/20] 우리말) 건달, 놈팡이, 깡패는 다국적 언어 머니북 2014-01-20 3445
1602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3445
1601 [2016/09/06] 우리말) 찌뿌듯하다/찌뿌둥하다 머니북 2016-09-07 3445
1600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45
1599 [2007/08/17] 우리말) 분리수거, 분리배출 id: moneyplan 2007-08-17 3446
1598 [2009/02/19] 우리말) 오지다 id: moneyplan 2009-02-19 3446
1597 [2009/09/21] 우리말) 남의나이 id: moneyplan 2009-09-21 3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