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조회 수 3354 추천 수 47 2007.06.18 08:56:00
정리하면,
'맏'이나 '맏이'는 '제일 큰, 첫 번'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이지만,
사람에게 쓸 때,
'맏'은 친족관계에만 쓰고,
'맏이'는 혈연관계가 없어도 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회사 동료 아버님 칠순잔치에 다녀왔습니다.
화목한 식구들의 모습이 참 보기 좋더군요.

식구 모임에는 항상 '맏이'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걸 좀 볼게요.

"여러 형제자매 가운데서 제일 손위인 사람"을 '맏이'라고 합니다.
'맏'은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맏이'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입니다.
맏며느리, 맏사위, 맏손자, 맏아들처럼 쓰고,
'내가 맏이이니 집에 의지할 장정 식구란 없는 셈이었다.'처럼 씁니다.

'맏'은 몇몇 이름씨(명사) 앞에 붙어 "그해에 처음 나온"이라는 뜻을 더하기도 합니다.
맏나물, 맏배가 그런 것이죠.

'맏이'에도 다른 뜻이 있습니다.
"나이가 남보다 많음. 또는 그런 사람."이라는 뜻이 있죠.
흰머리가 많은 그를 나보다 10년 맏이로 보는 사람이 많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맏'이나 '맏이'는 '제일 큰, 첫 번'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이지만,
사람에게 쓸 때,
'맏'은 친족관계에만 쓰고,
'맏이'는 혈연관계가 없어도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쓰다 보니 갑자기 떠오르는 책이 있습니다.
MBC 윤영무 기자가 쓴 '대한민국에서 장남으로 살아가기'라는 책입니다.
글귀 하나하나가 가슴에 와 닿았고, 대한민국의 모든 여자가 다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요즘도 그 책이 나오는지는 모릅니다. ^^*
근데
요즘 윤영무 기자님이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으시던데......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오늘 박지성 선수 참 잘했죠?
박지성 선수가 맘에 들어 오늘은 우리말편지를 하나 더 보냅니다.

세계일보 6월 15일자 15면에,
‘박지성, 그대 있으매...’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네요.
그 제목을 보시고 혹시 틀린 게 아닌가 해서 저에게 편지를 주신 분이 계십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는 맞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순간 저도 그렇게 외치고 싶습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박지성, 그대 있으매...'는,
박지성, 그대가 있기 때문에라는 뜻입니다.
'어떤 일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는 '-음에'나 '-ㅁ에'가 아니라,
'-(으)매'입니다.
따라서,
'그대 있음에'가 아니라 '그대 있으매'가 맞습니다.

내가 해 준 요리를 그가 맛있게 먹으매 마음이 흡족했다, 강이 깊으매 큰 고기가 살고 덕이 넓으매 인물이 모여드니라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가 있기 때문에, '-하기 때문에'라는 뜻으로 쓸 때는,
'-음에'가 아니라 '-(으)매'를 써야 합니다.

박지성! 그대 있으매 스위스전도 끄떡없다!!!

대~한민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70
1376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473
1375 [2015/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머니북 2015-11-12 3472
1374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472
1373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472
1372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471
1371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471
1370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470
1369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470
1368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470
1367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470
1366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470
1365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470
1364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469
1363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468
1362 [2013/07/08] 우리말) 블랙박스 머니북 2013-07-08 3468
1361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468
1360 [2010/07/19]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moneybook 2010-07-19 3468
1359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467
1358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467
1357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