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보고 계시다가
ㄷㅆ하고 ㅅㅍ한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됨됨이가 가볍지 않고 실한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보깨지 않죠. ^^*

오늘도 문제를 맞히시는 분 가운데 두 분을 골라
쌀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제를 낼게요.
이 문제를 모두 맞히시는 분 가운데 세 분을 뽑아서
농촌진흥청 연구원이 직접 기술을 지도하여 만든 쌀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여러분 드리려고 일부러 샀습니다. ^^*

올 말이면 대통령 선거가 있습니다.
요즘 대통령이 되려고 도스르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서로 맞서서 가래는 것을 잘 지켜보고 있다가
말재기는 골라내야 합니다.
도스르다 : 무슨 일을 하려고 별러서 마음을 다잡아 가지다.
가래다 : 맞서서 옳고 그름을 따지다.
말재기 : 쓸데없는 말을 수다스럽게 꾸미어 내는 사람.

국민의 눈이 얼마나 무섭고 매섭다는 것을 모르고
궁따거나 능갈치며 당나발 붙는 야지랑스런 사람은 꼭 골라내야 합니다.
궁따다 : 시치미를 떼고 딴소리를 하다.
능갈치다 : 교묘하게 잘 둘러대다.
당나발 붙다 : (속되게) 터무니없는 거짓말을 하다.
야지랑스럽다 : 얄밉도록 능청맞고 천연덕스럽다.

대통령을 잘못 뽑으면 나중에 보깨게 됩니다.
이 나라의 주인인 백성이 오히려 되술래잡힙니다.
보깨다 : 먹은 것이 소화가 잘 안 되어 속이 답답하고 거북하게 느껴지다.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마음이 번거롭거나 불편하게 되다.
되술래잡다 : 잘못을 빌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남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잘 보고 계시다가
ㄷㅆ하고 ㅅㅍ한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됨됨이가 가볍지 않고 실한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보깨지 않죠.
너무 꼼바르면 좀 거시기하잖아요... ^^*
꼼바르다 : 마음이 좁고 지나치게 인색하다

오늘도 문제를 맞히시는 분 가운데 두 분께 쌀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며칠 까다로운 우리말 편지를 보내드렸습니다.
좀 억지스럽기도 했지만,
우리말을 살려 쓰려다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제가 여기에 쓴 순 우리말은 모두 국어사전에 있는 낱말입니다.
옛날 사전에 있는 게 아니라 요즘 쓰는 사전에 있습니다.
우리가 잘 부려 쓰기만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번쯤 일부러라도 써 보시는 게 어떨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추스리다 >> 추스르다]

어제 우리나라 대표 선수들이 돌아왔습니다.
모두들 최선을 다 했고 잘 싸웠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동안 월드컵을 응원하면서,
월드컵과 관련 있는 우리말을 보내드렸는데,
여기서 멈춰야 하니 조금 서운하네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을 기대해야죠.

이제 16강 실패의 아픔을 잘 추스르고,
다음 월드컵을 기다려야겠습니다.

그동안의 일을 잘 추슬러 마무리하기 위해,
오늘은 추스르다를 소개해 드릴게요.

"일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는 뜻의 낱말로,
추슬르다, 추스리다, 추스르다... 중 어떤 게 맞을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쓰세요?

'추스르다'가 맞습니다.

근데 이녀석은 움직임이 좀 별납니다.
ㄹ 불규칙활용을 하는 녀석이라 쓰임이 좀 까다롭습니다.
어간의 끝소리 'ㅡ'가 탈락한 다음에 다시 'ㄹ'이 첨가되죠.

추스르다의 활용 몇 가지를 보기로 들어봤습니다.
<표준> / <비표준>
추스르 다 / 추스리 다
추스르 면 / 추스리 면
추스르 ㄴ->추스른 / 추스리 ㄴ->추스린
추스르 어서->추슬러서 / 추스리 어서->추스려서
추스르 어야->추슬러야 / 추스리 어야->추스려야
추스르 었다->추슬렀다 / 추스리 었다->추스렸다

이제 월드컵도 물 건너 갔고,
무슨 재미로 살죠?
  

어제 문제의 답은 드레지다와 도뜨다입니다.

판사가 때로는 살천스럽더라도
모름지기 드레지고 도떠야 합니다.

드레지다 : 사람의 됨됨이가 가볍지 않고 점잖아서 무게가 있다
도뜨다 : 말씨나 행동이 정도가 높다.

urbi?? 님과 alton?? 두 분께 쌀을 보내드렸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7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4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510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115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891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928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321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425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22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322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86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15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73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193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46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36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94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313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12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