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조회 수 3769 추천 수 54 2007.07.04 02:21:46
아무쪼록,
이번 1차 투표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 회원 과반수가 평창을 밀어주길 빕니다.
다른 두 도시는 반수에 못 미치고,
평창이 1차에서 과반수를 얻길 빕니다.


안녕하세요.

2014년 동계올림픽을 어디서 여는지를 판가름하는 투표가 내일 아침에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힘을 보탰으니
이번에는 꼭 이겨서 대한민국의 큰 힘을 보여주길 빕니다.

그런 바람을 모아 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하나 더 보내겠습니다.

이번 투표는
97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이 하게 되니,
1차에서 49표를 얻으면 개최권을 딸 수 있습니다.
49표면 97표의 과반수인 거죠.

흔히 '과반수'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과반수만 넘으면 된다, 과반수를 넘었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이는 좀 어색합니다.

과반수(過半數)는 "절반이 넘는 수"를 뜻합니다.
절반(半數)을 넘은(過) 수로
'과반수'에 이미 반을 넘었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과반수를 넘으면 된다고 쓰면
'넘다'를 두 번 겹쳐 쓴 셈입니다.

'과반수를 넘었다.'는 '과반수가 되어야 한다'로 써야 합니다.
꼭 '넘다'를 쓰고 싶으면 '과반수'에서 '넘다'의 뜻이 있는 '과'를 빼고
'반수를 넘었다'로 쓰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이번 1차 투표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 회원 과반수가 평창을 밀어주길 빕니다.
다른 두 도시는 반수에 못 미치고,
평창이 1차에서 과반수를 얻길 빕니다.

거듭 빌지만,
다른 두 도시는 반수를 넘지 못하길 빕니다.  ^___^*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삐지다/삐치다]

안녕하세요.

이번 비에 별 피해 없으셨죠?
아무쪼록 큰 피해 없기를 빕니다.

요즘 장마철이라 밤에는 무척 덥죠?
저는 밤에 자면서 딸내미를 안고 자는데요.
어제는 너무 더워서 딸내미를 옆으로 좀 밀쳤습니다.
너는 그쪽에서 자고 아빠는 여기서 자고...

이 말을 들은 딸내미가,
"아빠, 아빠가 안 안아주면 나 삐진다!"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하는 말이,
"삐지는 것은 위험하니, 삐지지 말고 삐쳐라. "
"아이 참, 아빠가 안아주지 않으면 나 삐진다고오~~!"
"그래, 삐지지 말고 삐쳐! "
"무슨 소리야... 흥, 아빠, 미워!!"

흔히,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지다"는 뜻으로 '삐진다'고 합니다.
너 때문에 삐졌다, 그만한 일에 삐지면 되니? 처럼 씁니다.
이때 쓰는,
'삐지다'는 잘못된 겁니다.
성이 나서 토라지는 것은 '삐지'는 게 아니라 '삐치'는 것입니다.

'삐지다'는,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 내다."는 뜻으로,
김칫국에 무를 삐져 넣다처럼 씁니다.

그래서 제가,
딸내미가 삐진다고 했을 때,
"삐지는 것은 위험하니, 삐지지 말고 삐쳐라."라고 한 겁니다.
세살배기 어린아이에게 좀 어려운 말인가요?

아침에 나오며 딸내미와 뽀뽀하고 헤어진 지 채 1시간도 안 되었는데 벌써 보고 싶네요.
오늘 하루 어떻게 일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92
1036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38
1035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738
1034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3738
1033 [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moneybook 2010-08-02 3739
1032 [2008/12/19]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id: moneyplan 2008-12-19 3740
1031 [2013/12/10] 우리말) 책거리 머니북 2013-12-10 3740
1030 [2014/02/28] 우리말) 날탕과 생무지 머니북 2014-02-28 3741
1029 [2016/01/06] 우리말) 사과나무 머니북 2016-01-06 3741
1028 [2016/12/12] 우리말) 짐승의 어미와 새끼 머니북 2016-12-13 3741
1027 [2008/06/23] 우리말) 사과탕 id: moneyplan 2008-06-23 3743
1026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743
1025 [2008/09/23] 우리말)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id: moneyplan 2008-09-23 3744
1024 [2013/10/22] 우리말) 인사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머니북 2013-10-22 3745
1023 [2014/02/06] 우리말) 본데없다 머니북 2014-02-06 3745
1022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745
1021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46
1020 [2012/02/07] 우리말) 족집게와 쪽집게 머니북 2012-02-07 3746
1019 [2011/03/24] 우리말) 여우비 moneybook 2011-03-24 3748
1018 [2014/07/03] 우리말) 동고동락 머니북 2014-07-04 3748
1017 [2008/03/12]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08-03-12 3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