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0] 우리말) 금자탑

조회 수 3671 추천 수 54 2007.07.10 09:43:13
이 피라미드 모양이 마치 '金' 자 같다고 해서 생긴 낱말이 金字塔(금자탑)입니다.
말 그대로 '金' 자를 닮은 탑이란 뜻이죠.


안녕하세요.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서 '소련 소치'라고 했습니다.
소련이 아니라 '러시아'입니다.
꼼꼼하지 못한 게 또 드러났네요. 죄송합니다.

며칠 전에 새로운 7대 불가사의를 뽑았군요.
사람이 했다고는 믿어지지 않을 멋진 건축물을 뽑은 것인데,
뽑고 나니 말이 많군요.

저도 한 마디 보태자면,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이집트 피라미드가 뽑히지 못한 게 좀 아쉽네요.

피라미드가 뭔지 아시죠?
기원전 2700년에서 기원전 2500년 사이에 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 라틴 아메리카 등지에 세워진
왕이나 왕족의 무덤으로 돌이나 벽돌을 쌓아 만든 사각뿔 모양의 큰 건조물입니다.
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우리 인류의 업적입니다.
이 피라미드 모양이 마치 '金' 자 같다고 해서 생긴 낱말이 金字塔(금자탑)입니다.
말 그대로 '金' 자를 닮은 탑이란 뜻이죠.

아마도
금자탑이라는 낱말이 처음 생겼을 때는 그 소리가 [금짜탑]이었을 겁니다.
글자의 소리가 [글짜]잖아요.
그러나 지금은 [금자탑]입니다.
본래 낱말이 생길 때의 뜻과 지금 쓰는 뜻이 달라진 거죠.
지금은 "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래서 본래 소리가 없어지고 [금자탑]으로 읽고 쓰는 겁니다.

그나저나
저는 언제나 피라미드 구경 한번 해 볼까요?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보신탕 >> 개장국]

점심 맛있게 드셨나요?

초복인 오늘,
인간을 위해서,
아니 인간 때문에,
얼마나 많은 멍멍이가 사라졌을까요?
인간 때문에 사라져간 멍멍이를 생각하면서 글을 씁니다.

사전에서 보신탕을 찾아보면,
"허약한 몸에 영양을 보충해 주는 국이라는 뜻으로, '개장국'을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다시 '개장국'을 찾아보면,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삼복에 몸보신용으로 먹는 것은 '개장국'입니다.
요즘은 주로 보신탕이라고 하지만,
본래는 개장국입니다.

보신탕이라는 말은,
아마도 장사꾼들이 補身湯으로 지은 게 아닌가 라는 사람도 있고,
한방에서 쓰는 낱말이라는 사람도 있고...

이 보신탕이라는 이름은,
88올림픽 때 잠시 다른 이름으로 바뀌게 됩니다.
외국의 동물 애호가들이 인간의 친구인 개를 먹는 것은 야만 행위라고 트집을 잡고 나서자,
정부에서 보신탕을 혐오 식품이라면서,
큰길가에 있던 보신탕집을 단속하고,
보신탕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죠.
그때 상인들이 억지로 만들어낸 말이
'영양탕'과 '사철탕'입니다.
'영양탕'은 영양이 많거나 좋다는 뜻이고,
'사철탕'은 몸에 좋은 이런 식품을 여름에만 먹지 말고 사시사철 일년내내 먹자는 뜻으로 지었다고 합니다.
당연히 상인들이 만들어낸 말이죠.
거기에 한 술 더 떠 ‘보양탕’이라고까지 합니다.

그러나
개장국, 보신탕만 국어사전에 올라 있고,
사철탕, 보양탕, 영양탕은 사전에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점잖지 못한 그런 말은 없어지는 게 맞죠.

재밌는 것은,
'개장국'의 낱말 뜻입니다.
개장국에서 '개'와 '국'은 한글이고 '장'은 한자인데,
된장 장(醬) 자를 씁니다.
따라서,
'개장국'은,
개에다 된장을 발라 국을 끓였다는 말이 되겠죠.
좀 거시기 하긴 하지만,
그래도 딱 어울리는 말 아닌가요?

보태기)
1.
오늘 편지는,
개장국을 많이 먹자거나,< br>아니면 개장국을 먹지 말자거나 하는 뜻으로 보내드리는 게 아닙니다.
다만,
그 이름을 두고,
어떻게 생기게 되었고, 어떤 뜻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린 것뿐입니다.

2.
참고로,
저는 개장국을 먹지 않습니다.
먹어본 적도 없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먹지 않을 겁니다.

  

어제 낸 문제의 답은
훈감하다와 회두리입니다.
훈감하다는
"푸짐하고 호화롭다.", "맛이 진하고 냄새가 좋다."는 뜻이고,
회두리는
"여럿이 있는 중에서 맨 끝이나 맨 나중에 돌아오는 차례"라는 뜻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께 선물을 보내드렸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36
1556 [2014/04/03] 우리말) 허점 머니북 2014-04-03 3682
1555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82
1554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682
1553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3682
1552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82
1551 [2008/07/04] 우리말) 어느와 여느 id: moneyplan 2008-07-07 3682
1550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681
1549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81
1548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3680
1547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79
1546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3679
154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679
1544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79
1543 [2017/09/20] 우리말) 땡깡(2) 머니북 2017-09-21 3678
1542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77
1541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677
1540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676
1539 [2013/10/17] 우리말) 악천우 -> 악천후 머니북 2013-10-17 3676
1538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76
1537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