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3] 우리말) 짧은 편지

조회 수 4414 추천 수 181 2007.07.13 09:19:50
표준 발음법 제25항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는 규칙에 따라,
[짤씀니다]와 [짤ㅉㅛ]로 소리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할 일이 좀 있어서 일찍 일어났습니다.

요즘 우리말 편지가 짧죠?
누가 쫓아오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 바쁘게 사네요.
제가 아침부터 바쁜날은 우리말 편지가 짧습니다. ^^*

여기서
'짧습니다'를 어떻게 소리 내는 게 맞을까요?
[짤습니다]가 맞을까요, [짭습니다]가 맞을까요?
우리말 편지가 짧죠?에서 짧죠?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표준 발음법 제25항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는 규칙에 따라,
[짤씀니다]와 [짤ㅉㅛ]로 소리내야 합니다.
(ㅉㅛ 글씨가 안써지네요.)

편지를 쓰다보면 짧은 날도[짤븐 날도] 있고 긴 날도 있습니다.
세상일이 다 그렇듯이......^^*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청설모 >> 청서]

안녕하세요.

작취미성(昨醉未醒)
딱 지금 저를 두고 하는 말입니다.

하도 머리가 아파서,
점심 먹고 산에 올라갔다 왔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서,
이쪽으로 1분만 걸어가면 호수가 있고,
저쪽으로 1분만 걸어가면 산이 있거든요.
부럽죠?
저처럼 농사짓는 사람들은 다 이렇게 좋은 곳에서 삽니다.

조금전에 산에 갔을 때,
뭔가가 앞으로 휙 지나가더군요.
날다람쥐였습니다.

오늘은 다람쥐 이야깁니다.
흔히,
몸빛은 잿빛 갈색이며 네 다리와 귀의 긴 털은 검은색인,
다람쥐처럼 생긴 동물을 보고,
청설모라고 합니다.
그러나 청설모는 靑鼠毛로
붓을 매는 데 쓰는 날다람쥐의 털일 뿐입니다.
청설모는 털이지 동물이 아닙니다.

이 다람쥐를 청서라고합니다.
靑鼠毛에서 앞에 있는 靑鼠가,
푸를 청, 쥐 서 자 잖아요.
그 청서의 털이 청설모이고...
(왜 청서모가 아니라 청설모라고 읽는지는 모릅니다. )

어쩌다가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는지 모르지만,
다움 백과사전에서 청서를 찾아보니,
'청설모라고도 함.'이라고 버젓이 나와 있네요.
아닙니다. 백과사전이 틀렸습니다.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20c2545a

다람쥣과의 하나로,
몸빛은 잿빛 갈색이며 네 다리와 귀의 긴 털은 검은색인 동물은,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입니다.

우리말편지를 하나 쓰고 나니,
이제 정신이 좀 드네요.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2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28
396 [2012/11/27] 우리말) 차가 밀리다와 길이 막히다 머니북 2012-11-27 4465
395 [2017/05/12] 우리말) 안다미, 안다미로, 안다니 머니북 2017-05-12 4465
394 [2009/04/01] 우리말) 밖에 id: moneyplan 2009-04-01 4471
393 [2017/01/20] 우리말) 제설/이면도로 머니북 2017-01-20 4484
392 [2010/10/21] 우리말) 연합뉴스 기사 moneybook 2010-10-21 4486
391 [2015/09/10]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5-09-11 4490
390 [2013/05/21] 우리말) 빨빨거리다 머니북 2013-05-21 4497
389 [2007/03/16] 우리말) 가름과 갈음 id: moneyplan 2007-03-16 4498
388 [2009/08/2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id: moneyplan 2009-08-26 4508
387 [2017/09/19] 우리말) 땡깡 머니북 2017-09-20 4508
386 [2007/02/11] 우리말) 조류인플루엔자 살처분? id: moneyplan 2007-02-12 4509
385 [2006/12/15] 우리말) 본데없는 사람 id: moneyplan 2006-12-15 4515
384 [2016/03/28] 우리말) 솔개그늘 머니북 2016-03-29 4516
383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528
382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529
381 [2013/02/21] 우리말) 걷어붙이다 머니북 2013-02-21 4529
380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536
379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539
378 [2017/05/15] 우리말) 영부인과 여사 머니북 2017-05-15 4541
377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