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08] 우리말) '각각'은 '따로따로'

조회 수 3620 추천 수 93 2007.08.08 11:32:47
'각각'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각각 자기 의자에 앉았다, 사람들은 생각이 각각 달랐다, 두 사람은 각각 바퀴 자국 하나씩을...처럼 씁니다.
이 각각(各各)은 "저마다"라는 뜻으로
국립국어원에서 '따로따로'로 다듬었습니다.
자기 의자에 따로따로 앉았다, 사람들은 생각이 저마다 달랐다, 두 사람은 따로따로 바퀴 자국 하나씩을...처럼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얼마나 많은 비가 내리려고 아침부터 이렇게 퍼붓나 모르겠습니다.
비 피해 없도록 조심하세요.

사람은 누구나 타고난 깜냥이 다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같은 일도 사람에 따라 마무리가 다르고,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른 생각을 하나 봅니다.

분위기가 좋은 일터를 보면,
내 생각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고,
나와 남이 다르다는 것을 서로 알아주는 것 같습니다.

'각각' 맡은 일은 다르지만 자기 일터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자기 일터를 알리기에 애쓰겠죠.
저도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을 무척 사랑합니다. ^^*

요즘 들어 사람의 개성이 저마다 다르다는 생각을 참 많이 합니다. 그냥 그런 생각을 합니다. ^^*

흔히
'각각'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각각 자기 의자에 앉았다, 사람들은 생각이 각각 달랐다, 두 사람은 각각 바퀴 자국 하나씩을...처럼 씁니다.
이 각각(各各)은 "저마다"라는 뜻으로
국립국어원에서 '따로따로'로 다듬었습니다.
자기 의자에 따로따로 앉았다, 사람들은 생각이 저마다 달랐다, 두 사람은 따로따로 바퀴 자국 하나씩을...처럼 쓰시면 됩니다.

이 세상에는 많은 사람이 있고,
그 사람들이 서로 부대끼며 살아갑니다.
이 사람들은 저마다 생각이 다르고, 깜냥도 따로따로라는 것은 서로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내 잣대로 남을 재지 않고,
내 앎으로 남의 앎을 짓밟지 않고,
내 생각으로 남의 생각을 덮어버리지 않고,
내 글로 남의 글을 뭉개지 않고,
내 말로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기를 빕니다.

아니 저부터 그러도록 힘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연루보다는 관련이, 관련보다는 버물다가 낫습니다]

어제 대법원장이
최근 몇몇 판사 등이 법조 비리와 연루된 점을 국민에게 사과했네요.
우리들의 마지막 자존심인 대법원장이 어쩌다 이렇게까지 되었는지...

오늘은 '연루'를 알아보겠습니다.

연루(連累/緣累)는,
'남이 저지른 범죄에 연관됨'이라는 뜻인데,
국립국어원에서 '관련'으로 바꿔서 쓰도록 권하는 말입니다.
'연루'는 일본말(連累, れんるい[렝로이])에서 온 말입니다.

국가기관인 국립국어원에서 국민이 낸 세금으로 연구해서
이런 낱말은 일본말이니 쓰지 말자고 권하는 낱말 중 하나입니다.
그런 낱말은 언론에서 나서서 쓰지 않도록 권하고,
언론부터 앞장서야 합니다.

오늘은 두 가지를 짚어보죠.
첫째,
국립국어원에서 순화용어를 만드는 것은 참 잘하는 일입니다.
그 순화용어를 만들 때 될 수 있으면 우리말을 쓰면 어떨까요?
'연루'를 다듬는답시고 '관련(關聯/關連)'으로 바꾸지 말고,
'못된 일이나 범죄에 관계하다'는 뜻의 순 우리말인
'버물다'를 권하면 어떨까요?
그게 더 낫지 않나요?
순 우리말이 있는데 그걸 두고 한자 '관련'을 쓸 까닭이 뭘까요?
'버물다'가 버젓이 우리 사전에 올라있는데...

둘째,
앞에서 말한 대로
우리말을 다듬는 일은 언론에서 나서야 합니다.
언론의 힘을 언론이 잘 알고 있잖아요.
언론이 사회의 어두운 곳, 더럽고 썩은 곳만을 찾아 조지는 데 열을 올리지 말고,
일본말을 우리말로 바꾸는 데도 힘을 써야 합니다.
'비리에 연루된 판사'가 아니라
'비리에 버물린 판사'라고 내 보내는 언론사가 단 하나만이라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왜 우리 옆에는 그런 언론이 없죠?
제 눈이 이상해서 저만 그런 글귀를 못 보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4
1196 [2011/03/03] 우리말) 놀라다와 놀래다 moneybook 2011-03-03 3802
1195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422
1194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3316
1193 [2011/02/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2-25 3136
1192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692
1191 [2011/02/23] 우리말) 댓글 몇 개를 함께 읽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23 3191
1190 [2011/02/22] 우리말) 개화와 꽃 핌 moneybook 2011-02-22 3554
1189 [2011/02/21] 우리말) 수우미양가 moneybook 2011-02-21 3296
1188 [2011/02/18] 우리말) 이르다 moneybook 2011-02-18 3240
1187 [2011/02/17]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moneybook 2011-02-17 3896
1186 [2011/02/16] 우리말) 댓글을 같이 보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16 3694
1185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417
1184 [2011/02/14] 우리말) 님 moneybook 2011-02-14 3245
1183 [2011/02/11] 우리말) 달달하다 moneybook 2011-02-11 3804
1182 [2011/02/10] 우리말) 뜻밖에 moneybook 2011-02-10 3296
1181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497
1180 [2011/02/08]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moneybook 2011-02-08 3555
1179 [2011/02/07] 우리말) 매듭 moneybook 2011-02-07 3311
1178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653
1177 [2011/01/31] 우리말) 홀몸과 홑몸 moneybook 2011-01-31 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