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09] 우리말) 임용되다와 임용하다

조회 수 3547 추천 수 90 2007.08.09 11:48:07
'임용되다'는 내가 어떤 자리에 앉게 된 것이고,
'임용하다'는 내가 다른 사람을 불러다 쓰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탑라이스' 편지를 지워달라는 부탁을 드렸습니다.
지난 7월 17일 아침에 보내드린
"우리말, 농촌진흥청의 탑라이스"라는 꼭지의 글을 블로그에 올리신 게 있으면 지워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제 경솔한 실수로 많은 분이 힘들어하십니다.
아침에도 여기저기 블로그에 들어가 보니 그 글이 나오네요.
'영주문인협회'에도 아직 글이 남아 있습니다. 딱히 연락할 방법이 없어 답답하네요.
죄송합니다만,
지금 바로
"우리말, 농촌진흥청의 탑라이스" 글을 지워주실 것을 거듭 부탁드립니다.


어제는 기분 좋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제가 아끼고 존경하는 후배 백원진 박사가 전남대학교 교수가 됐다네요.
어렵게 공부하고 열심히 노력해서 교수가 되었으니,
더욱 힘써 좋은 업적 많이 내고 두루 존경받는 교수가 되길 빕니다.

저도 어제 백 교수에게 난을 보냈지만,
흔히 교수된 것을 축하할 때 난을 보냅니다.
그러면서
"교수 임용을 축하합니다"라고 씁니다.

뭔가 좀 어색하지 않아요?
임용(任用)은
"직무를 맡기어 사람을 씀."이라는 뜻으로
신규 임용, 요즘은 정식 교사 임용이 늘어나는 추세...처럼 쓰는 이름씨(명사)입니다.
누군가 어떤 자리에 앉는 것을 이르는 말이 아니라,
어떤 사람을 쓰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를 좀 쉽게 풀면,
'임용되다'는 내가 어떤 자리에 앉게 된 것이고,
'임용하다'는 내가 다른 사람을 불러다 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교수 임용을 축하합니다.'라고 하면,
대학 총장이 어려운 사정 속에서도 학교 발전을 위해 큰 맘 먹고 새사람을 뽑았는데,
그것을 두고 총장에게 축하한다는 뜻이 됩니다.

내가 아는 사람이 교수가 된 것을 축하하려면,
'교수 임용됨을 축하합니다.'라고 해야 바릅니다.

내친김에 발음도 좀 볼게요.
임용은 [임용]으로 읽지 않고 [이:묘ㅇ]으로 읽습니다.
제 후배 백 박사는 전남대학교 교수로 [이:묘ㅇ]되었고,
전남대학교는 백 박사를 교수로 [이:묘ㅇ]한 겁니다.
(묘ㅇ 자가 써지지 않네요.)

아무쪼록,
이번 에 전남대학교에 임용된, 전남대학교에 둥지를 틀게 된,
백원진 교수가 어디에서든지 제 구실 다 하는 멋진 교수가 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이달 말에 농촌진흥청에서 벌이는 잔치를 많은 분들이 축하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오시면 꼭 연락해주세요.

8월 30일부터 9월 3일까지
농촌진흥청 운동장에서 큰 잔치를 벌일까요, 벌릴까요?
잔치를 벌이는 게 맞을까요, 벌리는 게 맞을까요?

오늘은 '벌이다'와 '벌리다'를 갈라보겠습니다.
아주 쉽습니다.

물리적인 간격을 넓히는 것이면 '벌리다[벌:리다]'고,
그렇지 않으면 '벌이다[버:리다]'입니다.
곧, 입을 벌리고 하품하고, 앞뒤 간격을 벌리는 겁니다.
'벌이다'는 잔치를 벌이다, 일을 벌이다, 사업?벌이다처럼 물리적인 간격을 넓힌다는 의미가 없을 때 씁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벌립니다'고 하면 틀리고,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벌입니다'고 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90
1256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714
1255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4185
1254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741
1253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4176
1252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768
1251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3482
1250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766
1249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50
1248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483
1247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710
1246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44
1245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602
1244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78
1243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814
1242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50
1241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67
1240 [2011/05/17] 우리말) 뜬금없다 moneybook 2011-05-17 3755
1239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55
1238 [2011/05/13] 우리말) 안전띠 moneybook 2011-05-14 3692
1237 [2011/05/12] 우리말) 달뜨다와 주니 moneybook 2011-05-12 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