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7] 우리말) 분리수거, 분리배출

조회 수 3531 추천 수 59 2007.08.17 10:53:17
따라서,
집에서는 쓰레기 분리 '배출'을 잘해 주셔야,
아저씨들이 분리 '수거'를 잘 하실 수 있습니다.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해 주셔야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은
"쓰레기 분리배출을 잘해 주셔야 (분리수거를 빨리 마칠 수 있어)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로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기분 좋은 날이라 짧게 쓰겠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본 글입니다.
아파트 관리실에서 붙인 것 같네요.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해 주셔야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

뭔가 좀 이상하지 않나요?

아마 하시고자 하는 말씀은,
집에 있는 쓰레기를 버리실 때,
종이, 병, 플라스틱 따위를 잘 갈라서 제대로 내 주셔야
일하시는 분이 빨리 일을 마치고 방범순찰하는데 많은 시간을 쓸 수 있다는 뜻일 겁니다.

그런 뜻이 맞다면,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해 주셔야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는 틀렸습니다.
배출과 수거를 잘못 쓴겁니다.

집에 있는 쓰레기를 버리는 것은 배출이고,
이 쓰레기를 모으는 것은 수거입니다.
쓰레기 분리 배출은 각 가정에서 하고 수거는 아저씨들이 하시는 겁니다.

따라서,
집에서는 쓰레기 분리 '배출'을 잘해 주셔야,
아저씨들이 분리 '수거'를 잘 하실 수 있습니다.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해 주셔야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은
"쓰레기 분리배출을 잘해 주셔야 (분리수거를 빨리 마칠 수 있어) 방범순찰 시간이 늘어납니다."로 써야 바릅니다.

이렇게 자주 헷갈리는 게
접수와 제출입니다.
어디에 시험을 보고자 원서를 내고 온 것을,
"원서 접수하고 왔다."라고 하면 안 됩니다.
원서를 내는 것은 제출이고,
그 원서를 받는 게 접수입니다.

따라서,
시험 보는 사람이 원서를 '제출'하고,
회사에서 그 원서를 '접수'한 게 바릅니다.

오늘이 금요일이라 오늘 저녁에 일찍 가서
집에 있는 쓰레기를 분리 배출해야겠습니다. ^^*

우리말123

보태기)
글을 쓰면서도 좀 찜찜하네요.
실은 분리수거니 분리배출이니 하는 이런 낱말이 영 걸립니다.
처음 그런 정책을 세울 때,
'따로버리기', '따로모으기'라고 하거나,
'따로내기', '따로걷기'라고 했어야 하는데...

지금이라고 이런 말로 바꾸면 안 될까요?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농촌진흥청에 들러주세요]

오늘은 홀소리(모음) 발음 이야깁니다.
흔히 발음을 조금 틀리게 해도 상황에 따라 상대가 뜻을 알아채는 경우가 많아,
발음을 정확하게 내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들르다'와 '들리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들리다'는
"사람이나 동물이 소리를 감각 기관을 통해 알아차리다."는 뜻의 '듣다'의 피동형입니다.
어디서 음악 소리가 들린다, 밤새 천둥소리가 들렸는데 아침에는 날이 맑게 개었다처럼 씁니다.

'들르다'는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는 뜻으로,
친구 집에 들르다, 퇴근하는 길에 포장마차에 들렀다가 친구를 만났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가르고 보면 쉬운데 막상 쓸 때는 헷갈립니다.

예를 들면,보면,
어디서 희귀한 매미 소리를 들었다면 그걸 녹음해서 저에게 들려주시고,
내일부터 주말까지 사이에 수원에 오시면 농촌진흥청 잔치에 들러주세요.
말 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64
1036 [2013/01/31] 우리말) 인공위성 상식 몇 가지 머니북 2013-01-31 3967
1035 [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머니북 2013-02-01 5242
1034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99
1033 [2013/02/05] 우리말) 신줏단지 머니북 2013-02-05 4204
1032 [2013/02/06] 우리말) 시가와 싯가 머니북 2013-02-06 4032
1031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73
1030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681
1029 [2013/02/13] 우리말) 시계제로 머니북 2013-02-13 3994
1028 [2013/02/14] 우리말) 자잘못과 잘잘못 머니북 2013-02-14 4864
1027 [2013/02/15] 우리말) 물물이 머니북 2013-02-15 3325
1026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91
1025 [2013/02/19] 우리말) 바락바락 머니북 2013-02-19 4112
1024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564
1023 [2013/02/21] 우리말) 걷어붙이다 머니북 2013-02-21 4525
1022 [2013/02/22] 우리말) 인이 박이다 머니북 2013-02-26 4439
1021 [2013/02/2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진돗개 [1] 머니북 2013-02-26 4531
1020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70
1019 [2013/02/28] 우리말) 짐벙지다 머니북 2013-02-28 9817
1018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733
1017 [2013/03/05] 우리말) 아파트는 @를 ㉵로 ^^* file 머니북 2013-03-05 3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