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22] 우리말) 갈말

조회 수 3676 추천 수 125 2007.08.22 02:35:11
전공 용어, 전문 용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 있습니다.
갈말이라는 낱말인데요.
갈은 배움, 연구, 공부라는 뜻이고,
말은 말, 언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갈말은
학술 분야에서 한정된 뜻으로 씨는 전문 용어, 곧, 학술어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비가 오는 것을 보니 이제 더위가 한풀 꺾였나 봅니다.

어젯밤 KBS 상상플러스에서 멋진 우리말을 소개했습니다.
'중씰하다'는 낱말인데요.
그림씨(형용사)로 "중년이 넘어 보이다."는 뜻입니다.
남들이 저를 중씰하게 봅니다. ^^*
이런 멋진 낱말을 소개해 주는 KBS 상상플러스 참 좋은 방송입니다. ^^*

좀 아쉬운 것도 있었습니다.
출연자 중 한 분이 임심중이신데,
그걸 두고 '홀몸이 아니다'고 했습니다.
아닙니다. 홀몸이 아닌 게 아니라 홑몸이 아닌 겁니다.

'홀몸'은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외로운 사람이고,
"아이를 배지 아니한 몸."은 '홑몸[혼몸]'입니다.

오늘 이야기 시작하죠.

아시는 것처럼 저는 농대를 나와 농업 일을 하고 있습니다.
명색이 연구사라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이곳 본청에서 행정 일을 하고 있으니 속으로는 답답하고 걱정도 됩니다.

제가 맡은 일이 행정 일이다 보니
자료를 정리해서 보고하거나 내보낼 일이 많습니다.
그럴 때 고민하는 게 농업용어나 전문용어를 어떻게 나타낼까 하는 겁니다.
그냥 있는 그래도 쓰면 농업을 전문으로 하지 않으신 분은 잘 모르실 거고,
그렇다고 길고 너절하게 풀어쓰자니 남들이 읽지 않으실 거고...
되도록 쉽게 풀어쓰려고 하는데 쉽지만은 않네요.

전공 용어, 전문 용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 있습니다.
갈말이라는 낱말인데요.
갈은 배움, 연구, 공부라는 뜻이고,
말은 말, 언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갈말은
학술 분야에서 한정된 뜻으로 씨는 전문 용어, 곧, 학술어를 뜻합니다.

저도 빨리 돌아가서
갈말 붙들고 머리 싸매며 열심히 연구하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저는 떠버리입니다]

요즘 제가 지나치게 농촌진흥청 잔치를 소개했나요?
몇 분이 좀 심했다는 지적을 하셨네요.

제 삶의 언저리에 있는 내용을 써서 우리말편지를 쓰다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제가 국어나 맞춤법에 아는 지식이 많다면,
다른 주제를 쉽게 잡을 수 있겠지만...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제 주위에 있는 일에서...

이왕 말 나온 김에 오늘도 농촌진흥청 잔치를 좀 떠벌리겠습니다.
오늘은 그 '떠벌리다'와 '떠벌이다'를 갈라볼게요.

'떠벌리다'는
" 이야기를 과장하여 늘어놓다."는 뜻으로,
제가 날마다 농촌진흥청 잔치를 떠벌리고 다닌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떠벌이다'는
"굉장한 규모로 차리다."는 뜻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떠벌여 놓고 많은 사람을 초청했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며칠 전에 '벌리다'와 '벌이다'를 갈라봤었죠?
'벌리다'는 물리적인 간격이 떨어지는 것이고,
'벌이다'는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떠벌리다'도 입으로 떠드는 것이므로 '벌리다'와 잇고,
'떠벌이다'는 일을 시작하는 것이므로 잔치를 차리는 것과 이으면 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자주 수다스럽게 떠드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떠버리'입니다.

이를 한꺼번에 써 보면,
농촌진흥청에서 떠벌인 잔치를
제가 여기저기 떠벌린 것입니다.
이러는 저는 떠버리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25
316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719
315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25
314 [2015/11/25] 우리말) 치르다/치루다 머니북 2015-11-25 4727
313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731
312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36
311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41
310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750
309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53
308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53
307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59
306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66
305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774
304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79
303 [2015/06/05] 우리말) 먼지잼/애급과 출애굽기 머니북 2015-06-05 4782
302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789
301 [2006/09/30] 우리말) 웜 비즈? 쿨 비즈? id: moneyplan 2006-09-30 4792
300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00
299 [2006/11/07] 우리말) 날씨가 꽤 춥네요. 그렇다고 너무 웅숭그리지 마세요 id: moneyplan 2006-11-07 4803
298 [2008/03/04] 우리말) 내디딘과 내딛은 id: moneyplan 2008-03-04 4805
297 [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id: moneyplan 2007-01-29 4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