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조회 수 4723 추천 수 69 2007.08.23 10:26:01
우리 익은말(속담)에 "갖바치 내일 모레"라는 말이 있습니다.
갖바치는 가죽신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흔히 갖바치들이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저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을지연습이 끝나갑니다.
을지연습이라 긴장해서 그런지 어제도 실수를 했네요.
임신중이라고 해야 할 것을 임심중이라고 했고,
있는 그대로 쓰면...이라고 해야 할 것을 있는 그래도 쓰면...이라고 했고,
뜻으로 쓰는...이라고 해야 할 것을 뜻으로 씨는 이라고 했습니다.
읽으시면서 다 알고 계셨죠?
실은 며칠 전에는 을지연습을 을지훈련이라고도 했답니다. ^^*

을지연습은 말 그대로 연습입니다.
그러다 보니 어떤 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그에 따른 뒷처리를 연습하는 게 많습니다.
당연히 뒷처리하는 시간을 따지게 됩니다.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났는데, 그 뒤 몇 시간 안에 해결했다처럼...
그러니 연습하시는 분들이 전화기를 잡고 자꾸 재촉하게 되고,
곧 보낸다고 하고, 금방 갔다고 하고, 아직 가지 않았냐고 따지고......^^*

우리 익은말(속담)에 "갖바치 내일 모레"라는 말이 있습니다.
갖바치는 가죽신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흔히 갖바치들이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저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고리백정 내일 모레", "갖바치피장이 내일 모레"와 같은 말입니다.

요즘은 자장면집이냐고 하죠?
자장면을 시켜놓고,
빨리 오지 않으면 전화해서 재촉하게 됩니다.
이럴 때 항상 들리는 말이,
"금방 갔습니다."잖아요.
그래서 어떤 일을 재촉할 때 그런 말을 많이 씁니다.

이번 주도 벌써 마무리할 때가 되었네요.
시간 참 잘 가죠?
이러면서 나이 들어가겠죠? 그렇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갖바치나 자장면집을 깔보는 편지가 아닙니다.
2. '내일모레'는 "어떤 때가 가까이 닥쳐 있음을 이르는 말"로 쓰면 한 낱말이지만,
여기서는 '내일'과 '모레'의 뜻으로 썼으므로 붙였습니다.
어떤 때가 가까이 닥쳐 있음을 이르는 말
3. '익은말'은 자주 쓰는 관용구나 숙어를 뜻합니다.
저는 그 말의 뜻을 좀 넓게 펴고자 '속담'이라는 뜻으로 썼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드디어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흔히 어떤 행사를 시작할 때,
'대단원의 막이 올랐다'라고 하고,
그 행사가 끝날 때,
'대단원의 막이 내렸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대단원은 행사가 끝날 때만 씁니다.
대단원(大團圓)은 대미(大尾)와 같은 뜻으로,
"연극이나 소설 따위에서, 모든 사건을 해결하고 끝을 내는 마지막 장면"을 말합니다.
단원의 막이 내렸다처럼 씁니다.

곧, 어떤 행사의 시작에는 대단원이라는 낱말을 쓰면 안 됩니다.
끝낼 때만 '대단원'이라는 낱말을 씁니다.

저도 이제 좀 쉴 수 있겠죠?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2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41
336 [2012/12/12] 우리말) 박물관과 미술관에 있는 엉터리 한글 머니북 2012-12-12 3236
335 [2012/02/10] 우리말) 예/아니요 머니북 2012-02-10 3236
334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3236
333 [2009/04/15] 우리말) 수화와 손짓말 id: moneyplan 2009-04-15 3236
332 [2008/05/29] 우리말) 어겹되다 id: moneyplan 2008-06-03 3236
331 [2013/05/31] 우리말) 뒷좌석과 뒷번호 머니북 2013-06-03 3235
330 [2008/03/20] 우리말) 날찍 id: moneyplan 2008-03-20 3235
329 [2014/12/18] 우리말) 2014년 표준어 추가 머니북 2014-12-18 3234
328 [2012/04/16] 우리말) 우리말 사랑 나눔 머니북 2012-04-16 3233
327 [2016/07/29] 우리말)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8-10 3232
326 [2015/02/08] 우리말) 리더십과 리더쉽 머니북 2015-02-09 3232
325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3232
324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3232
323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231
322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3231
321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231
320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3230
319 [2010/06/10] 우리말) 책장사와 책장수 moneybook 2010-06-10 3230
318 [2009/05/06] 우리말) 삼희성과 줄탁동시 id: moneyplan 2009-05-06 3230
317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