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조회 수 3129 추천 수 61 2007.09.03 09:14:46
안녕하세요.

토요일에는 우리말편지를 보내지 않거나,
우리말과 별 상관이 없는 제 이야기를 보내드립니다.

어제는 아내와 함께 한글학회에 다녀왔습니다.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곳에서 상을 받는다는 게 참 쑥스럽더군요.
뒤풀이 뒤에는 애들과 함께 청계천에 들러 맘껏 뛰놀다 늦게 집에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어제 지킴이가 되고 나서 제가 드렸던 인사말을 소개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방금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된 성제훈입니다.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 학예연구사가 있듯이,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농업연구사입니다.
어찌 보면 국어, 우리말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같은 제가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되었습니다.

몇 년 전에 어떤 배우가 상을 받으면서 "감독님과 배우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저는 맛있게 먹기만 했는데, 이런 큰 상을 받게 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 제가 딱 그 꼴입니다. 제가 아침마다 편지를 보내기는 하지만, 국어학자들이 만든 문법을 책에서 따오고, 문법에 맞게 쓴 보기를 사전에서 따와서 편지를 씁니다.
다만, 편지에 제 식구 이야기나 일터이야기를 버무려 보낼 뿐입니다. 그러니 남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제가 맛있게 먹은 것뿐이죠.

또, 시상 자리에서 자주 듣는 말이,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알고 고맙게 받겠습니다... 뭐 이런 말입니다.
이 말도 지금 저에게 딱 어울리는 말입니다. 농업연구자가 농업기술이나 농업 상식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알리고자 우리말 공부를 시작했고, 그것을 주위 분들과 나누고 있을 뿐인데 이런 큰 상을 주셨습니다.
그러니 별로 한 것도 없는데 큰 상을 받았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라는 격려와 다독거림일 수밖에요. 고맙습니다.

요즘을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합니다. 몇 십 년 전에는 산업화 사회라고 했죠. 그러나 이것은 고작 100년 전입니다. 그 이전에는 농경 사회였습니다.
우리 조상도 수천수만 년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농업에는 우리 선조의 얼과 넋이 녹아 있습니다. 농업의 중요성을 꼭 먹을거리를 만드는 데서만 찾으면 안 됩니다. 우리 문화의 보물창고가 바로 농업입니다.
마침 제가 농업을 하고 있기에, 농업 속에 서려 있는 우리 조상의 숨결과 얼, 넋을 찾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우리말, 우리글, 우리 문화를 찾아 알리는데 힘쓰겠습니다.

끝으로, 오늘 이 자리는, 저에게 큰 영광이자 기쁨이지만, 한편 무척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부담은 사 랑하는 제 아내와 함께 짊어져 반으로 나누고, 기쁨은 제 아들딸과 함께 나눠 몇 배로 뻥튀기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09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6573
316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2946
315 [2015/04/23] 우리말) 영화 어벤져스(2) 머니북 2015-04-24 2945
314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2945
313 [2009/12/11] 우리말) 잎과 닢 id: moneyplan 2009-12-11 2945
312 [2017/02/14]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02-14 2944
311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2944
310 [2014/11/13] 우리말) 조비비다 머니북 2014-11-13 2943
309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2943
308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2941
307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2939
306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2939
305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2938
304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2937
303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2936
302 [2015/05/26] 우리말)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머니북 2015-05-26 2936
301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2936
300 [2010/04/20] 우리말) 병해충과 병충해 id: moneyplan 2010-04-20 2936
299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935
298 [2013/06/18] 우리말) 개문냉방 머니북 2013-06-18 2935
297 [2008/07/09] 우리말) 엉터리 말과 자막 id: moneyplan 2008-07-09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