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07] 우리말) 내외빈

조회 수 3895 추천 수 60 2007.09.07 09:55:01
따라서,
어떤 행사에서 인사하면서 쓸 때는 '내빈(來賓)'이라고 해야 합니다.
내빈(內賓)과 외빈(外賓을 합쳐 내외빈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어색합니다.


안녕하세요.

세계에는 2차대전까지밖에 없었는데...
저는 왜 4차, 5차대전을 치르는지...

오늘도 여러분이 보내주신 편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여러 행사장에 참석해 보면 어떤 곳에서는 참석해 주신 내비, 외빈 여러분들께 감사드린다거나 참석해 주신 내외빈 여러분들께 감사드린다는 말을 사회자가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내빈과 외빈의 의미를 모르고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네.
사전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내빈과 외빈은 사실상 동일한 의미인데,
사람들이 한자 올래 자를 안내 자로 착각하다보니 내빈, 외빈 또는 내외빈이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짐작되네.
만일 안내 자와 손님빈 자를 합하여 단어를 만든다면 이는 그 의미상 모순되는 것이겠지.
(밖에서 오는 사람이 손님이지 안에 있는 사람을 손님이라고 할 수는 없으니까. 또한 같은 취지에서, 내외빈이라는 단어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 단어이지..)
위 내용이 혹시 우리말 편지의 소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면 자네가 한번 편지에 담아보는 것도 좋을 듯싶네.
잘 지내게...


이런 편지를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한자말을 쓰니 이렇게 헷갈리네요.
사전에서 '내빈'과 '외빈'을 찾아보면,
내빈(內賓) "안손님"
내빈(來賓) " 모임에 공식적으로 초대를 받고 온 사람. '손님', '초대 손님'으로 순화"
외빈(外賓) "외부나 외국에서 온 귀한 손님."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행사에서 인사하면서 쓸 때는 '내빈(來賓)'이라고 해야 합니다.
내빈(內賓)과 외빈(外賓을 합쳐 내외빈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어색합니다.

"참석해 주신 내외빈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보다는
"함께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라고 하면 어떨까요?
더 짧게는 "와주셔서 고맙습니다."라고 하면 될 것 같고...

오늘처럼 우리말 편지에 소개할 우리말 이야기를 보내주십시오.
제가 징검다리가 되어드리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산문 모음집?]

책읽기에 참 좋은 때죠?
이런 휴일에는 집에서 한가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것도 제가 받은 여러 가지 복 중 하나일 겁니다.

지난달부터 저에게 책을 보내주시는 분들이 많아서 좋은 책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연락처를 몰라 일일이 고맙다는 인사도 못했는데,
이 자리를 빌려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저는 가끔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 우리말 책을 뒤져보는데요.
어제도 책을 찾다 보니 잘못된 게 눈에 띄어 소개합니다.

흔히,
여러 개 산문을 모아서 한 권의 책으로 묶은 것을 '산문 모음집'이라고 하고,
여러 동요를 모아서 하나의 CD로 만든 것을 '동요 모음집'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낱말은 뜻이 겹쳐서 좋은 말이 아닙니다.

'모음집'에 쓰이는 '집' 자는 모일 집(集) 자입니다.
이미 '집'에 모음이라는 뜻이 있는데,
그 앞에 '모음'을 넣을 까닭이 없습니다.
그냥 '산문집'하거나 '동요모음' 하면 됩니다.

다음 검색창 뉴스에서 '모음집'을 넣고 검색해 보니,
892개의 문서가 나오네요.
뉴스에 나오는 기사가 그렇게 많이 틀려있다는 말이겠죠.
http://tab.search.daum.net/dsa/search?serv=news&q=&w=news&SortType=&ResultType=&site=&cp=

이번 가을에는,
'산문 모음집' 같은 덜떨어진 책 말고
좋은 책을 골라 몇 권 읽어보시는 것은 어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776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3400
316 [2010/08/13] 우리말) 거방지다 moneybook 2010-08-13 2890
315 [2008/07/17]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id: moneyplan 2008-07-17 2890
314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2890
313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2889
312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2889
311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2888
310 [2010/11/30] 우리말) 구제역 moneybook 2010-11-30 2888
309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2888
308 [2009/07/02] 우리말) 핑크빛과 핑크ㅅ빛 id: moneyplan 2009-07-02 2888
307 [2008/07/02] 우리말) 하이브리드 id: moneyplan 2008-07-02 2888
306 [2015/03/16] 우리말) 불과 뒷불 머니북 2015-03-16 2887
305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2887
304 [2012/02/10] 우리말) 예/아니요 머니북 2012-02-10 2886
303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2886
302 [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머니북 2015-07-15 2885
301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2885
300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2884
299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2884
298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2883
297 [2010/06/03] 우리말) 데구루루 moneybook 2010-06-03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