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조회 수 3524 추천 수 113 2007.09.27 10:14:06
'가'는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곧 '가장자리'라는 뜻이죠.
따라서 '가없다'는
끝을 알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뜻일 겁니다.


안녕하세요.

고향에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갈 때는 쉽게 갔는데 올 때는 무려 열다섯 시간이나 걸렸습니다.
해남... 정말 멀더군요. ^^*

그렇게 어렵게 고생하며 간 고향이지만 그래도 어머니 손 한번 잡고 오면 다시 힘이 납니다.
또 올라올 때 어머니가 이것저것 바리바리 싸 주시잖아요.
꾸준히 뭔가를 주시고도 또 주시는 것이 바로 부모님의 사랑인가 봅니다.

흔히,
부모님의 큰 사랑을 말할 때 '가이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아닙니다. '가없는 사랑'이 맞습니다.

'가'는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곧 '가장자리'라는 뜻이죠.
따라서 '가없다'는
끝을 알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뜻일 겁니다.

고향에 가셔서 부모님 뵙고,
삶에 찌든 때를 다 벗기고 오셨으니
이제 새롭게 시작합시다. ^^*

저도 아침에 결재 들어가려고 한 시간쯤 전에 나와서
벌써 한 건 해치웠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 123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라는 편지가 있습니다.
날마다 우리 문화를 한 꼭지씩 소개해 주십니다.

오늘 아침에 온 편지를 소개합니다.
한가위 이야기가 있어서...^^*

이 편지를 날마다 받으시려면,
sol119@empal.com 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보름달 같은 한가위를 맞으셨나요?
그리고 온 식구가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시간이었겠지요?
늘 그런 날이 되도록 비손하겠습니다.
혹시 한가위 명절동안 만나지 못한 사람이 있으시면 반보기를 해도 좋겠지요.
      

예전엔 여성이 시집가면 출가외인이라 하여 친정부모를 쉽게 만날 수 없었지요. 그래서
     생겨난 것이 ‘반보기'라는 세시풍속입니다. 반보기(중로상봉:中路相逢)'는 한가위가 지난
     다음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끼리 때와 장소를 미리 정하고 만나는 것인데 중도에서
     만났으므로 회포를 다 풀지 못하고 반만 풀었다는 데서 나온 말이지요. 시집간 딸과
     친정어머니가 중간 지점을 정하고, 음식을 장만하여 만나서 한나절 동안 회포를 풉니다.      

      
      또 한마을의 여자들이 이웃 마을 여자들과 경치 좋은 곳에 모여 우정을 나누며 하루를
      즐기는 일도 있었는데 이때 각 마을의 소녀들도 단장하고 참여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며느릿감을 고르는 기회로 삼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민족대이동이라 하여 4천만 명이
      고향을 찾아 일가친척을 만나고, 조상에게 입은 덕을 기리는 것은 ‘반보기’가 아닌
      ‘온보기’일 것입니다. 이제 반보기만 하는 사람들은 없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28
2356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659
2355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656
2354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4652
2353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02
2352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599
2351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586
2350 [2006/12/08] 우리말) 찌뿌둥이 아니라 찌뿌듯 id: moneyplan 2006-12-08 4585
2349 [2007/04/17] 우리말) 가름과 갈음 id: moneyplan 2007-04-17 4583
2348 [2006/11/22] 우리말) 난 널 짜장 좋아한다 id: moneyplan 2006-11-22 4583
2347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575
2346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574
2345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573
2344 [2006/12/01] 우리말) 저희 집은 콩켸팥켸입니다 id: moneyplan 2006-12-01 4573
2343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570
2342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566
2341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58
2340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552
2339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550
2338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547
2337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