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0] 우리말)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은?

조회 수 4257 추천 수 184 2007.10.10 04:37:56
앞에서 '한 수 위'라고 했는데요.
우리말에는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말씨나 행동이 정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나이에 비해 ??다, 우리가 자기들보다 ??기 때문에 우리 앞에선 함부로 행동하지 못했다,

여러분이 저보다 ??니 제가 가끔 실수하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세요. ^^*

오늘 문제를 맞히신 열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의 답은 '자깝스럽다'입니다.
"어린아이가 마치 어른처럼 행동하거나, 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은이의 흉내를 내어 깜찍한 데가 있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 가운데,
먼저 답을 보내신 순서대로 열 분께는 무안에서 난 고구마 2개와 갈피표 두 장씩을 보내드렸고,
나중에 맞히신 20분께는 갈피표 두 개와 향기종이 몇 장씩 보내드렸습니다.
모두 40분께 선물을 보내드리려고 했는데,
문제의 답을 보내주신 분이 많지 않으셔서 오늘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시는 여러분께 선물을 드리고 싶어서 근질근질합니다. ^^*

가끔 저에게 편지를 보내서,
어떻게 하면 그렇게 우리말을 잘 알 수 있느냐고 물으시는 분이 계십니다.

저는 우리말을 잘 알지 못합니다.
잘 모르니까 잘 알려고 공부하는 것이고, 그게 좋아서 여러분과 나누는 것입니다.

또,
편지를 받으시는 분 가운데는
우리말을 저보다 훨씬 많이 알고 잘 아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제가 감히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 것이죠.(뻔데기가 아닙니다.)
저보다 한 수 위, 아니 열 수 백 수 위이신 분들 앞에서 감히......

우리말에 '수'가 있습니다.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나 수완"을 뜻하죠.
좋은 수가 있다, 뾰족한 수가 없었다, 네가 한 수 위다처럼 씁니다.

앞에서 '한 수 위'라고 했는데요.
우리말에는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말씨나 행동이 정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나이에 비해 ??다, 우리가 자기들보다 ??기 때문에 우리 앞에선 함부로 행동하지 못했다,

여러분이 저보다 ??니 제가 가끔 실수하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세요. ^^*

오늘 문제를 맞히신 열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다음에는 쉼표가 없다]  

오늘은 아주 간단한 것으로 하죠.
아래 문장 중 어색한 부분을 찾아보세요.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러나, 너와 결혼할 수는 없다.

내용도 좋고(?), 앞문장과 뒷문장이 반대되는 접속사도 좋고...
다 좋은데... 뭐가?

오늘은 문장부호에 대해서 좀 알아볼게요.
문장부호의 종류가 많고, 우리 맞춤법에서 문장부호에 대한 내용을 정확하게 정의한 게 별로 없긴 하지만,
그래도 있는 거라도 챙겨야죠.
위의 문장에서 글은 틀린 게 없습니다.
다만, 그러나 다음에 반점(쉼표)을 찍는 게 틀렸습니다.

원칙적으로,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는 반점을 씁니다.
결국, 그럼에도, 다만, 먼저, 다음으로, 바라건대, 보건대, 아무튼, -에 의하면, 첫째, 하지만, 한편, 다만,......
이런 식으로 연결어 다음에 ‘,’를 찍어줍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와
이에 대응하는 ‘이러나, 이러므로, 이런데’
뒤에는 ‘,’를 쓰지 않음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 사람이나 먹는 것은 다 같다. 그러나 먹는 방법과 양식이 다르다.
너는 엄청난 죄를 지었다. 그러므로 법의 심판을 받아 마땅하다.
‘정직하게 살아라. 그리고 열심히 노력하라.’처럼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뒤에 쉼표를 찍지 않습니다.

앞에서 말한,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러나, 너와 결혼할 수는 없다.
에서도 그러나 다음에 ‘,’를 찍으면 안 됩니다.

정리하면,
접속사 뒤에는 쉼표를 찍는 게 원칙인데,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이 네 가지 다음에는 쉼표를 찍지 않습니다.

날씨가 참 좋죠?
겨울은 겨울다워야 하는데......
좋은 하루 만드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69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99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12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55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64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65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94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94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02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02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05
2666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18
2665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18
2664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30
2663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34
2662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35
2661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37
2660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39
2659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841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42
2657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