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0] 우리말)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은?

조회 수 4243 추천 수 184 2007.10.10 04:37:56
앞에서 '한 수 위'라고 했는데요.
우리말에는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말씨나 행동이 정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나이에 비해 ??다, 우리가 자기들보다 ??기 때문에 우리 앞에선 함부로 행동하지 못했다,

여러분이 저보다 ??니 제가 가끔 실수하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세요. ^^*

오늘 문제를 맞히신 열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의 답은 '자깝스럽다'입니다.
"어린아이가 마치 어른처럼 행동하거나, 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은이의 흉내를 내어 깜찍한 데가 있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 가운데,
먼저 답을 보내신 순서대로 열 분께는 무안에서 난 고구마 2개와 갈피표 두 장씩을 보내드렸고,
나중에 맞히신 20분께는 갈피표 두 개와 향기종이 몇 장씩 보내드렸습니다.
모두 40분께 선물을 보내드리려고 했는데,
문제의 답을 보내주신 분이 많지 않으셔서 오늘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시는 여러분께 선물을 드리고 싶어서 근질근질합니다. ^^*

가끔 저에게 편지를 보내서,
어떻게 하면 그렇게 우리말을 잘 알 수 있느냐고 물으시는 분이 계십니다.

저는 우리말을 잘 알지 못합니다.
잘 모르니까 잘 알려고 공부하는 것이고, 그게 좋아서 여러분과 나누는 것입니다.

또,
편지를 받으시는 분 가운데는
우리말을 저보다 훨씬 많이 알고 잘 아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제가 감히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 것이죠.(뻔데기가 아닙니다.)
저보다 한 수 위, 아니 열 수 백 수 위이신 분들 앞에서 감히......

우리말에 '수'가 있습니다.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나 수완"을 뜻하죠.
좋은 수가 있다, 뾰족한 수가 없었다, 네가 한 수 위다처럼 씁니다.

앞에서 '한 수 위'라고 했는데요.
우리말에는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말씨나 행동이 정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나이에 비해 ??다, 우리가 자기들보다 ??기 때문에 우리 앞에선 함부로 행동하지 못했다,

여러분이 저보다 ??니 제가 가끔 실수하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세요. ^^*

오늘 문제를 맞히신 열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다음에는 쉼표가 없다]  

오늘은 아주 간단한 것으로 하죠.
아래 문장 중 어색한 부분을 찾아보세요.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러나, 너와 결혼할 수는 없다.

내용도 좋고(?), 앞문장과 뒷문장이 반대되는 접속사도 좋고...
다 좋은데... 뭐가?

오늘은 문장부호에 대해서 좀 알아볼게요.
문장부호의 종류가 많고, 우리 맞춤법에서 문장부호에 대한 내용을 정확하게 정의한 게 별로 없긴 하지만,
그래도 있는 거라도 챙겨야죠.
위의 문장에서 글은 틀린 게 없습니다.
다만, 그러나 다음에 반점(쉼표)을 찍는 게 틀렸습니다.

원칙적으로,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는 반점을 씁니다.
결국, 그럼에도, 다만, 먼저, 다음으로, 바라건대, 보건대, 아무튼, -에 의하면, 첫째, 하지만, 한편, 다만,......
이런 식으로 연결어 다음에 ‘,’를 찍어줍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와
이에 대응하는 ‘이러나, 이러므로, 이런데’
뒤에는 ‘,’를 쓰지 않음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 사람이나 먹는 것은 다 같다. 그러나 먹는 방법과 양식이 다르다.
너는 엄청난 죄를 지었다. 그러므로 법의 심판을 받아 마땅하다.
‘정직하게 살아라. 그리고 열심히 노력하라.’처럼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뒤에 쉼표를 찍지 않습니다.

앞에서 말한,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러나, 너와 결혼할 수는 없다.
에서도 그러나 다음에 ‘,’를 찍으면 안 됩니다.

정리하면,
접속사 뒤에는 쉼표를 찍는 게 원칙인데,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이 네 가지 다음에는 쉼표를 찍지 않습니다.

날씨가 참 좋죠?
겨울은 겨울다워야 하는데......
좋은 하루 만드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43
2356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659
2355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656
2354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4652
2353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03
2352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601
2351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586
2350 [2006/12/08] 우리말) 찌뿌둥이 아니라 찌뿌듯 id: moneyplan 2006-12-08 4585
2349 [2007/04/17] 우리말) 가름과 갈음 id: moneyplan 2007-04-17 4583
2348 [2006/11/22] 우리말) 난 널 짜장 좋아한다 id: moneyplan 2006-11-22 4583
2347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576
2346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575
2345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574
2344 [2006/12/01] 우리말) 저희 집은 콩켸팥켸입니다 id: moneyplan 2006-12-01 4573
2343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571
2342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569
2341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59
2340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553
2339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551
2338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550
2337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