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조회 수 3271 추천 수 114 2007.10.22 09:58:51
이렇게 구설과 구설수는 다릅니다.
구설은 좋지 않은 말이고,
구설수는 그런 말을 들을 운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온 식구가 횡성에 다녀왔습니다.
한우고기 좀 먹을까 해서 갔는데, 한우는 못 먹고 더덕만 많이 먹고 왔습니다. ^^*


봉황이 울었다는 봉명리라는 곳에서 잤는데 비포장도로로 한참 들어가야 마을이 나오더군요.
오랜만에 달려보는 비포장도로였습니다.


포장(鋪裝)은
"길바닥에 돌과 모래 따위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나 아스팔트 따위로 덮어 길을 단단하게 다져 꾸미는 일."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꾸민 길을 '포장도로'라고 합니다.

그럼 포장 되지 않은, 꾸미지 않은 길은 뭐라고 하죠?
아시는 것처럼 '비포장도로(非鋪裝道路)'라고 합니다.

'비포장'보다는 '흙길'이 낫지 않나요?
근데 안타깝게도 흙길은 사전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포장, 포장도로, 비포장도로와 함께
'길'과 '포장길'만 올라 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이런 멋진 '길'을 두고 '도로(道路, どうろ[도우로])'라는 일본어투 말을 더 많이 쓰는 우리입니다.
어떤 책에 보니 '도로'는 땅에만 있고,
'길'은 하늘과 땅, 심지어는 바다에도 있는 게 길이라고
도로와 길의 쓰임을 갈랐더군요.

다음에 사전 만들 때는 '도로'를 빼고 '길'만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포장'을 뺄 수 없다면 '흙길'이라도 올렸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주도 열심히 일해야겠죠?
그래야 주말에 또 놀러 가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단출/단촐, 도저하다]

오늘은 간단한 이야기를 하죠.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을 이야기할 때,
‘단출하다’고 해요, 아니면 ‘단촐하다’고해요?

‘단촐하다’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단출하다’의 잘못이라고 명쾌하게(?) 나옵니다.

많은 분들이 ‘단촐’로 알고 계시는데,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은
‘단출’입니다.

살림이 단출하다.
‘식구가 단출하다’처럼 쓰죠.

말 나온 김에,
‘도저’가 무슨 말인지 아세요?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 아무리 하여도 안 될 때 쓰는 ‘도저히’와 같은 어근에서 온 말입니다.
‘도저’에 ‘히’가 붙으면 별로 좋지 않은 뜻이 되지만,
그냥 동사형 하다가 붙으면 참 좋은 뜻이 됩니다.

‘도저(到底)하다’는 형용사로
학식이나 생각, 기술 따위가 아주 깊다는 뜻입니다.
‘학문이 도저하다/의술이 도저하다/정성이 도저하다.’처럼 씁니다.
또,
행동이나 몸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곧아서 훌륭하다는 뜻으로,
‘네 행실이 도저했다면 그가 그런 대접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처럼 씁니다.

좋은 말이죠.
이런 좋은 말은 살려 써야하는데...

오늘 주위에 계신분에게
‘도저하다’는 말을 한번 써 보시는 것은 어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26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8226
2336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470
2335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470
2334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466
2333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463
2332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460
2331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456
2330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455
2329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453
2328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445
2327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443
2326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440
2325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437
2324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435
2323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428
2322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426
2321 [2013/02/21] 우리말) 걷어붙이다 머니북 2013-02-21 4425
2320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423
2319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418
2318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415
2317 [2013/05/21] 우리말) 빨빨거리다 머니북 2013-05-21 4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