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조회 수 3440 추천 수 114 2007.10.22 09:58:51
이렇게 구설과 구설수는 다릅니다.
구설은 좋지 않은 말이고,
구설수는 그런 말을 들을 운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온 식구가 횡성에 다녀왔습니다.
한우고기 좀 먹을까 해서 갔는데, 한우는 못 먹고 더덕만 많이 먹고 왔습니다. ^^*


봉황이 울었다는 봉명리라는 곳에서 잤는데 비포장도로로 한참 들어가야 마을이 나오더군요.
오랜만에 달려보는 비포장도로였습니다.


포장(鋪裝)은
"길바닥에 돌과 모래 따위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나 아스팔트 따위로 덮어 길을 단단하게 다져 꾸미는 일."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꾸민 길을 '포장도로'라고 합니다.

그럼 포장 되지 않은, 꾸미지 않은 길은 뭐라고 하죠?
아시는 것처럼 '비포장도로(非鋪裝道路)'라고 합니다.

'비포장'보다는 '흙길'이 낫지 않나요?
근데 안타깝게도 흙길은 사전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포장, 포장도로, 비포장도로와 함께
'길'과 '포장길'만 올라 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이런 멋진 '길'을 두고 '도로(道路, どうろ[도우로])'라는 일본어투 말을 더 많이 쓰는 우리입니다.
어떤 책에 보니 '도로'는 땅에만 있고,
'길'은 하늘과 땅, 심지어는 바다에도 있는 게 길이라고
도로와 길의 쓰임을 갈랐더군요.

다음에 사전 만들 때는 '도로'를 빼고 '길'만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포장'을 뺄 수 없다면 '흙길'이라도 올렸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주도 열심히 일해야겠죠?
그래야 주말에 또 놀러 가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단출/단촐, 도저하다]

오늘은 간단한 이야기를 하죠.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을 이야기할 때,
‘단출하다’고 해요, 아니면 ‘단촐하다’고해요?

‘단촐하다’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단출하다’의 잘못이라고 명쾌하게(?) 나옵니다.

많은 분들이 ‘단촐’로 알고 계시는데,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은
‘단출’입니다.

살림이 단출하다.
‘식구가 단출하다’처럼 쓰죠.

말 나온 김에,
‘도저’가 무슨 말인지 아세요?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 아무리 하여도 안 될 때 쓰는 ‘도저히’와 같은 어근에서 온 말입니다.
‘도저’에 ‘히’가 붙으면 별로 좋지 않은 뜻이 되지만,
그냥 동사형 하다가 붙으면 참 좋은 뜻이 됩니다.

‘도저(到底)하다’는 형용사로
학식이나 생각, 기술 따위가 아주 깊다는 뜻입니다.
‘학문이 도저하다/의술이 도저하다/정성이 도저하다.’처럼 씁니다.
또,
행동이나 몸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곧아서 훌륭하다는 뜻으로,
‘네 행실이 도저했다면 그가 그런 대접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처럼 씁니다.

좋은 말이죠.
이런 좋은 말은 살려 써야하는데...

오늘 주위에 계신분에게
‘도저하다’는 말을 한번 써 보시는 것은 어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72
1436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3584
1435 [2012/06/29] 우리말) 같이 읽고 싶은 글 머니북 2012-06-29 3583
1434 [2009/08/21]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583
1433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582
1432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582
1431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582
1430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82
1429 [2013/11/13] 우리말) '계란 껍질' 머니북 2013-11-13 3581
1428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3581
1427 [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머니북 2017-08-31 3580
1426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80
1425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580
1424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579
1423 [2015/03/24] 우리말) 꽃샘과 잎샘 머니북 2015-03-24 3578
1422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578
1421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78
1420 [2008/06/30]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30 3578
1419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77
1418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577
1417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