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조회 수 3600 추천 수 92 2007.10.25 10:05:11
시장에서 "사과 한 개 주세요."라고 하지 "사과 일 개 주세요."라고는 안 합니다.
사과 열 개라고 하지, 사과 십 개라고는 안 합니다.
그러나 50개는,
사과 오십 개라고 하지, 사과 쉰 개라고는 별로 안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시는 것처럼 저는 술을 무척 좋아합니다.
그러면서도 걱정이 있습니다. 가끔 기억을 못 할 때가 있습니다.
어제도 분명히 최 기자님과 술 마신 기억은 있는데 어떻게 집에 들어왔는지는 기억이 안 나네요.
쩝......

저는 아침마다 오늘은 무엇으로 우리말 편지 밥상을 차리나...'라는 고민을 합니다.
오늘도 고민하면서 이 방에 들어왔는데, 다행히 제 딸내미가 그것을 풀어주네요.
실은 지금 목포에 와 있습니다. 그래서 떨어져 있는 딸내미가 보고 싶네요. ^^*

딸 아이는 제 일터 어린이집에 다니느라 아침에 집에서 같이 나섭니다.
어제 아침에 차 속에서 시계를 가리키며,
"지금 몇 시야?"라고 물었습니다.
딸내미가
"팔 시 삼 분"이라고 말하데요.

"음. 점 앞에는 시이고 뒤는 분인데 앞에는 하나, 둘처럼 읽고, 뒤에는 일, 이, 삼으로 읽는단다.
그래서 지금(8:3)은 여덟 시 삼 분[여덜시 삼분]이라고 읽어야 한단다."
"왜 그렇게 읽어야 해요? 팔 시 삼 분이라고 하면 안 돼요?"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을 읽을 때는 그렇게 읽는단다."
"아빠 그럼 팔 시 세 분이라고 해도 안돼?"
"팔 시 세 분? 아, 여덟 시 삼 분을 그렇게 읽으면 안 되냐고? 안 되지..."
"왜 안되는데요?"
"음... 그건 말이다.... 아빠가 공부해서 나중에 알려줄게. 신호등 바꿨다. 빨리 가자."

아침부터 진땀 뺐었습니다. ^^*

우리말에서 수를 쓰거나 읽는 방법을 따로 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대략적인 경향과 흐름만 있을 뿐입니다.
일, 시를 나타내는 경우 '시'나 '시간' 앞에서는 고유어계(하나, 둘, 셋...)로 읽지만
'월', '일'이나 '분', '초' 앞에서는 한자어계(일, 이, 삼...)로만 읽습니다.
왜 그럴까요?

시장에서 "사과 한 개 주세요."라고 하지 "사과 일 개 주세요."라고는 안 합니다.
사과 열 개라고 하지, 사과 십 개라고는 안 합니다.
그러나 50개는,
사과 오십 개라고 하지, 사과 쉰 개라고는 별로 안 합니다.

"한 지점에서 길이 네 방 향으로 갈라져 나간 곳"을 '사거리'라고도 하고 '네거리'라고도 합니다.
둘 다 표준말입니다.

구미호는
"꼬리가 아홉 개 달린 여우"지 "꼬리가 구 개 달린 여우"라고는 안 합니다.

어떤 때는 하나, 둘... 하고,
어디까지 일, 이... 해야 하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사거리보다 네거리가 더 좋은 것은 분명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4
1376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578
1375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578
1374 [2007/04/18] 우리말) 아이고머니나...... id: moneyplan 2007-04-19 3578
1373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77
1372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77
1371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76
1370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76
1369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3575
1368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75
1367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74
1366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74
1365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74
1364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3574
1363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73
1362 [2008/11/12] 우리말) 한철과 제철 id: moneyplan 2008-11-12 3573
1361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72
1360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572
1359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571
1358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571
1357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