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여전히 춥네요.

어제 보낸 편지에 제가 실수한 게 있군요.
그걸 꼬집어 주신 편지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저녁' 국립국어원에서는 합성어로 보고 '어제저녁'으로 했네요.
'흥이야힝이야'는 '흥이야항이야'인것 같습니다.
'부랴서랴'는 '부랴사랴'가 아닌지요?
이런 낱말도 있네요.
'밑두리콧두리' 이름씨로 확실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자꾸 캐어묻는 근본
['뒤죽박죽'도 '뒤죽'만 있고 '박죽'은 없고] 이 부분은 국립국어원에서 낱말 검색을 해 보니까 앞뒤가 바뀐것 같기도 하구 잘 이해가 안됩니다.

맞습니다.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쓸데없이 참견하여 이래라저래라 하는 모양"은 '흥이야항이야'이고,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은 '부랴사랴'입니다.

고맙습니다.

제가 이렇게 제 잘못을 말씀드리면,
우리말편지를 이곳저곳 누리집에 올리셨던 분들은
앞서 올린 편지를 고쳐주십시오.
그래야 다른 분들이 틀린 편지를 보지 않으시죠.
부탁드립니다.

걱정이네요.
이렇게 틀리면 며칠 가던데...... 쩝...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제가 실수했기에 오늘은 많은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답을 보내시는 열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저는 지난 주말에 식구와 함께 전북을 다녀왔는데요. 오는 길에 바닷가에도 잠시 들렀습니다.


바닷가에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쌓여 있는 게 가끔 보입니다.
바로 그것을 뜻하는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두 자입니다.

바닷가에 있는 바위를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게 보입니다.
그런 바위를 ??바위라고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라고 나와 있고,
우리말 큰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질"이라고 나와 있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껍데기와 껍질의 다른 점은 잘 아시죠?
'껍데기'는
"호두, 달걀, 조개 따위의 속?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나 "속을 싼 겉의 물건"을 뜻하고,
'껍질'은
"물체의 거죽을 싸고 있는 딱딱하지 않은 물건의 켜"를 뜻합니다.
단단한 것은 껍데기 무른 것은 껍질...
그래서 '굴 껍데기'고 '귤 껍질'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85
2336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00
2335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499
2334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498
2333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491
2332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482
2331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480
2330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479
2329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470
2328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468
2327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465
2326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464
2325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460
2324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458
2323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456
2322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453
2321 [2013/02/21] 우리말) 걷어붙이다 머니북 2013-02-21 4453
2320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452
2319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447
2318 [2013/05/21] 우리말) 빨빨거리다 머니북 2013-05-21 4435
2317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