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여전히 춥네요.

어제 보낸 편지에 제가 실수한 게 있군요.
그걸 꼬집어 주신 편지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저녁' 국립국어원에서는 합성어로 보고 '어제저녁'으로 했네요.
'흥이야힝이야'는 '흥이야항이야'인것 같습니다.
'부랴서랴'는 '부랴사랴'가 아닌지요?
이런 낱말도 있네요.
'밑두리콧두리' 이름씨로 확실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자꾸 캐어묻는 근본
['뒤죽박죽'도 '뒤죽'만 있고 '박죽'은 없고] 이 부분은 국립국어원에서 낱말 검색을 해 보니까 앞뒤가 바뀐것 같기도 하구 잘 이해가 안됩니다.

맞습니다.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쓸데없이 참견하여 이래라저래라 하는 모양"은 '흥이야항이야'이고,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은 '부랴사랴'입니다.

고맙습니다.

제가 이렇게 제 잘못을 말씀드리면,
우리말편지를 이곳저곳 누리집에 올리셨던 분들은
앞서 올린 편지를 고쳐주십시오.
그래야 다른 분들이 틀린 편지를 보지 않으시죠.
부탁드립니다.

걱정이네요.
이렇게 틀리면 며칠 가던데...... 쩝...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제가 실수했기에 오늘은 많은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답을 보내시는 열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저는 지난 주말에 식구와 함께 전북을 다녀왔는데요. 오는 길에 바닷가에도 잠시 들렀습니다.


바닷가에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쌓여 있는 게 가끔 보입니다.
바로 그것을 뜻하는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두 자입니다.

바닷가에 있는 바위를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게 보입니다.
그런 바위를 ??바위라고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라고 나와 있고,
우리말 큰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질"이라고 나와 있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껍데기와 껍질의 다른 점은 잘 아시죠?
'껍데기'는
"호두, 달걀, 조개 따위의 속?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나 "속을 싼 겉의 물건"을 뜻하고,
'껍질'은
"물체의 거죽을 싸고 있는 딱딱하지 않은 물건의 켜"를 뜻합니다.
단단한 것은 껍데기 무른 것은 껍질...
그래서 '굴 껍데기'고 '귤 껍질'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71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499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108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871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914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313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421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15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317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83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11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71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190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44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32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90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309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10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