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조회 수 6106 추천 수 95 2007.11.07 08:54:16
아침에 보낸 편지에
'잘 알아서 하라는 말을 에둘러 그렇게 한 게 아닐런지......'라는 월이 있었는데,
'아닐런지'가 아니라 '아닐는지'가 맞습니다.
아래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편지를 두 번 보내게 되네요.

먼저,
아침에 보낸 편지에
'잘 알아서 하라는 말을 에둘러 그렇게 한 게 아닐런지......'라는 월이 있었는데,
'아닐런지'가 아니라 '아닐는지'가 맞습니다.
아래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되도록 이런 편지, 잘못됐으니 고쳐달라는 이런 편지를 보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이런 편지를 보낼 일이 생기네요.
그렇게 정신 차리고 보낸다고 해도......

기분 좋은 소식도 있습니다.
제가 쓴 '성제훈의 우리말 편지'라는 책이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에 뽑혔다고 하네요.

제가 무슨 책을 썼느냐고요?
http://www.yes24.com/searchCenter/searchResult.aspx?keywordAd=&keyword=&qdomain=&query=
입니다.

날씨가 참 좋네요.
저는 지금 풍기로 가서 인삼 몇 뿌리 먹고 올게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할런지/할른지 >> 할는지


10월의 마지막이자, 새로운 한 주의 시작이네요.
이번 주도 정신없이 바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침부터 바쁘네요.

오늘 하루도 워낙 많은 일이 몰려있다 보니 제가 제대로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
제 일을 해야 저도 먹고사니,
오늘은 간단하게 쓸게요.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에서,
처리할는지, 할련지, 할런지, 할른지...
헷갈리시죠?

먹는 것으로 기억해 보세요.
먹는지, 먹었는지, 먹겠는지, 먹었을는지, 먹을는지, 먹겠을는지...
모두 ‘는지’를 쓰죠?
‘할는지’는
‘할런지’나 ‘할른지’로 쓰시면 안 됩니다.

‘ㄹ는지’는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나 종결어미로 씁니다.
연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어
‘그 의문을 답을 몰라도’, ‘그 의문의 답을 모르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비가 올는지 습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처럼 쓰죠.

종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불확실한 사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그 사람이 과연 올는지. 무슨 일이 일어날는지를 누가 알겠니?처럼 씁니다.

아침에 꽤 춥더군요.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96
2336 [2016/04/01] 우리말) 갖다 -> 열다 머니북 2016-04-02 2920
2335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31
2334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2954
2333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782
2332 [2016/03/28] 우리말) 솔개그늘 머니북 2016-03-29 3927
2331 [2016/03/25]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6-03-25 3058
2330 [2016/03/24] 우리말) 구실 머니북 2016-03-25 3361
2329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159
2328 [2016/03/22] 우리말) 마라고/말라고 머니북 2016-03-22 3919
2327 [2016/03/21] 우리말) 고문 머니북 2016-03-22 2847
2326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373
2325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2993
2324 [2016/03/16] 우리말) 홧홧 머니북 2016-03-18 3152
2323 [2016/03/15] 우리말) 남을 먼저 생각하는 말 머니북 2016-03-17 2951
2322 [2016/03/14] 우리말) 금슬과 금실 머니북 2016-03-15 3143
2321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900
2320 [2016/03/10] 우리말) 알파고 머니북 2016-03-11 3043
2319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17
2318 [2016/03/08] 우리말) 비 맞벌이 -> 외벌이/홑벌이 머니북 2016-03-09 3660
2317 [2016/03/07] 우리말) 우리말의 소중함 머니북 2016-03-09 2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