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480 추천 수 67 2007.11.21 09:15:26
오늘도 문제를 하나 내겠습니다.
북한에서 쓰는 문화어에
"잠이 오지 아니하여 몸을 한 번 뒤척이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두 글자(??) 입니다.
우리나라 말에서는 그 두 글자를 반복한 ????을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눈이 좀 내렸죠?
강원도는 눈이 많이 내렸다는데,
제가 사는 곳에는 '자국눈'만 있네요.
자국눈은 "겨우 발자국이 날만큼 적게 내린 눈."을 뜻하는 우리말입니다.

아침 7:47 KBS1에서 적설량을 말하면서 화면에 Cm가 나왔습니다.
자막을 내 보내는 KBS 기계가 잠시 고장 났었나 봅니다. cm라고 써야 하는데 Cm라고 쓴 걸 보면...^^*

어제도 늦게까지 일하고 새벽에 들어갔는데,
늦게 잠자리에 들어서 그런지 잠이 오지 않더군요.
이리 뒤척 저리 뒤척거리다 깊은 잠을 자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무슨 걱정이 있는 것도 아닌데...
저는 제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며 삽니다. 실제로도 그런 것 같고요. 저는 아무 걱정 없습니다. ^^*

오늘도 문제를 하나 내겠습니다.
북한에서 쓰는 문화어에
"잠이 오지 아니하여 몸을 한 번 뒤척이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두 글자(??) 입니다.
우리나라 말에서는 그 두 글자를 반복한 ????을 씁니다.

보기를 들자면,
북한에서는 '또록'처럼 두 글자를 쓰고, 남한에서는 '또록또록'처럼 그 글자를 반복해서 씁니다.
(또록이 북한말이라는 게 아니라 그런 보기를 든 겁니다. ^^*)

움직씨(동사)도 있습니다.
"잠이 오지 아니하여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거리다."는 뜻으로
'??거리다'나 '??대다'는 낱말을 씁니다.
??거리며 잠을 이루지 못하다, 공연히 갈피 없는 생각에 ??거리며 밤을 지샜다처럼 씁니다.

잠잘 때뿐만 아니라 깨어 있으면서도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릴 때도 '??대다'고 합니다.
한 학생이 대답을 못하고 ??거린다, 그는 잠시 ??거리다가 면접관을 향해 꾸벅 인사를 했다처럼 씁니다.

이 낱말이 뭘까요?

맨 처음 맞히시는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십시요??]

지난 토요일은 제가 다니는 일터의 동료 직원 어머님 칠순잔치가 있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제가 손님들 축의금을 받게 되었는데요.
손으로는 축의금 봉투를 받으면서 눈은
축의금 봉투에 써진 글귀로 가더군요.
하나하나 읽어보면 참 재밌습니다.

‘축 고희’,‘축 칠순’이나 ‘祝 古稀’, ‘祝 七旬’으로 쓰신 분들이 대부분이었는데,
몇 분은,
‘칠순을 축하드립니다.’(‘축하드립니다’가 아니라 ‘축하합니다’가 맞는데 그 이유는 다음에...)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십시요’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세요’
‘만수무강 하십시요’처럼 말로 풀어쓰셨습니다.
기분이 참 좋데요. (‘좋대요’가 아닌 이유는 아시죠? )

기분이 좋으면서도 짚을 것은 짚어야죠.
얼마 전에 편지 드린 것처럼
‘오’와 ‘요’는 구별해서 써야합니다.
문법적인 것은 놔두고,
쉽게, 아주 쉽게,
‘셔요, 세요, 까요’ 이 세 가지만 ‘요’를 쓰고,
나머지는 모두 ‘오’를 쓰면 됩니다.

따라서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십시요’가 아니라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십시오’가 맞고,
‘만수무강 하십시요’가 아니라
‘만수무강하십시오’가 맞습니다.

간단하고 쉬운 건데도 가끔 틀립니다.
이번 기회에 외워두죠.
‘셔요, 세요, 까요’ 이 세 가지만 ‘요’를 쓰고,
나머지는 모두 ‘오’를 쓴다!!

식당이나 가게 앞에 보면 가끔
‘어서오십시요’라고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어서오십시오’가 맞습니다.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습니다.
이번 주도 좋은 일만 많이 생기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1
1256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29
1255 [2012/02/22] 우리말) 넨다하다 머니북 2012-02-22 3782
1254 [2012/02/23] 우리말) 우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은? 머니북 2012-02-23 4117
1253 [2012/02/24] 우리말) 옷거리가 좋은 이원재 사무관 머니북 2012-02-24 3405
1252 [2012/02/27] 우리말) 판넬이 아니라 패널 머니북 2012-02-27 4182
1251 [2012/02/28] 우리말) 투잡은 겹벌이로 다듬어 씁시다 file 머니북 2012-02-28 3141
1250 [2012/02/29] 우리말) 적산가옥? 머니북 2012-02-29 3286
1249 [2012/03/02] 우리말) 적산가옥 갈음할 낱말은... 머니북 2012-03-02 3795
1248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928
1247 [2012/03/06] 우리말) 부조금과 부좃돈 머니북 2012-03-06 4196
1246 [2012/03/07] 우리말) 충돌과 추돌조회 머니북 2012-03-08 3310
1245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08
1244 [2012/03/09] 우리말) 전단지 머니북 2012-03-09 3285
1243 [2012/03/12] 우리말) 꽃샘과 잎샘 머니북 2012-03-12 4072
1242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579
1241 [2012/03/14]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머니북 2012-03-14 3911
1240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3625
1239 [2012/03/16] 우리말) 일쩝다 머니북 2012-03-16 3103
1238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0
1237 [2012/03/20] 우리말) 냉이국이 아니라 냉잇국 머니북 2012-03-20 3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