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30] 우리말) 반거들충이

조회 수 3753 추천 수 158 2007.11.30 09:04:42
'반거들충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무엇을 배우다가 중도에 그만두어 다 이루지 못한 사람."을 뜻하죠.
게으른 놈은 언제나 반거들충이 밖에 안 된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시간만 흘러가네요.
다음 주는 12월이고... 왠지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해 놓은 일이 없어서...

'반거들충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무엇을 배우다가 중도에 그만두어 다 이루지 못한 사람."을 뜻하죠.
게으른 놈은 언제나 반거들충이 밖에 안 된다처럼 씁니다.

제가 그런 것 같습니다.
연구소에서 일하다 잠시 이곳으로 와서 일 좀 배운다는 게 벌써 2년입니다.
이제는 돌아가야 하는데...
이곳 일에 재미를 붙여 한두 해 더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고 나서 돌아가면 연구 감각이 많이 떨어진텐데...
반거들충이가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모도리'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빈틈없이 아주 여무진 사람", "조금도 빈틈없이 썩 모이게 생긴 사람."입니다.
그는 아주 당찬 모도리여서 남에게 사기당하지는 않을 것이다처럼 씁니다.

제가
모도리는 못되더라도 반거들충이는 되지 않아야 하는데...
11월의 마지막, 곧 한 해의 마지막 달을 맞으려니 괜히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이러면서 나이가 드는 거겠죠? 쩝...^^*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라면이 불기 전에 빨리 먹자!]

저는 요즘 아내가 없어서 끼니를 다 밖에서 해결하는데요.
며칠 전에는 오랜만에 친구와 같이 라면을 사 먹었습니다.
오랜만에 먹으니 참 맛있더군요.

라면이 나오는 동안 저는 신문을 읽고 있었는데,
읽던 것은 마저 읽어야 하기에,
라면이 나온 후에도 잠시 동안 신문을 읽고 있었습니다.
젓가락은 손에 들고...

이를 본 친구가,
“야, 라면 다 불기 전에 빨리 먹자. 곧 2인분 되겠다. ”라고 하더군요.
그렇죠. 라면은 불으면 맛이 없잖아요.
라면이 불어 2인분이 되기 전에
신문을 집어치운 친구가 고맙기도 하지만,
그래도 틀린 말을 고쳐야죠.

“라면 다 불기 전에 빨리 먹자.”가 아니라,
“라면 다 붇기 전에 빨리 먹자.”가 맞습니다.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라는 뜻의 낱말은,
‘불다’가 아니라, ‘붇다’가 그 원형입니다.

또,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라는 뜻도 있죠.
‘개울물이 붇다/체중이 붇다/식욕이 왕성하여 몸이 많이 불었다.’처럼 써야 합니다.
개울물이 불다/체중이 불다 가 아닙니다.

헷갈리죠?
‘체중이 붇다’에서는 ‘붇’을 쓰고,
‘몸이 많이 불었다’에서는 ‘불’을 쓰니...

우리 한글에는 ㄷ 불규칙 활용이라는 게 있습니다.
ㄷ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소리 ‘ㄷ’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ㄹ’ 받침으로 소리 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그대로 ‘ㄷ’ 받침으로 소리 납니다.
즉, ㅇ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소리나고,
그 외 자음 앞에서는 ‘ㄷ’으로 소리납니다.

따라서 ‘걷다’는
‘걷고, 걷는, 걸어서, 걸으면’ 따위로 씁니다.

“샘 따위에서 물을 떠내다”라는 뜻이 있는 ‘긷다’도
‘길어, 길으면, 길어서, 길으니, 긷고’처럼 활용합니다.

‘ㄷ 불규칙 용언’은 이 밖에도
‘깨닫다, 듣다, 묻다, 일컫다’ 따위가 있습니다.

라면의 부피가 커지는 ‘붇다’도,
‘불어, 불으니, 불으면’처럼 써야 합니다.

요즘 저도 체중이 좀 불었습니다.
몸이 붇기 전에는 몰랐는데, 불으니 좀 무겁네요.

오늘 저는 못자리하러 갑니다.
올 한 해 농사 잘되도록 빌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8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23
1796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777
1795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776
1794 [2015/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머니북 2015-11-12 3775
1793 [2008/04/25] 우리말) 가르치다의 말뿌리 id: moneyplan 2008-04-27 3774
1792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774
1791 [2009/08/12] 우리말) laon id: moneyplan 2009-08-14 3773
1790 [2011/06/16] 우리말) 바라겠습니다. 머니북 2011-06-16 3772
1789 [2007/07/27] 우리말) 싱글맘 id: moneyplan 2007-07-31 3771
1788 [2014/09/30] 우리말) 망막하다/막막하다 머니북 2014-09-30 3770
1787 [2012/07/05]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5 3770
1786 [2011/07/14] 우리말) 서식지와 자생지 머니북 2011-07-14 3770
1785 [2007/07/18] 우리말) 평방미터가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7-18 3770
1784 [2007/02/21] 우리말) 텔레비전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7-02-21 3770
1783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69
1782 [2012/07/18] 우리말) '다대기'와 '다지기' 머니북 2012-07-18 3769
1781 [2007/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id: moneyplan 2007-07-04 3769
1780 [2017/02/07] 우리말) 에듀푸어 머니북 2017-02-07 3768
1779 [2017/01/26] 우리말) 두꺼운 옷, 두터운 정 머니북 2017-01-27 3768
1778 [2007/03/14] 우리말) 인기연예인과 유명연예인 id: moneyplan 2007-03-14 3768
1777 [2016/03/08] 우리말) 비 맞벌이 -> 외벌이/홑벌이 머니북 2016-03-09 3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