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조회 수 3579 추천 수 155 2007.12.12 10:58:42
현재 쓰는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첫 자음의 ㄱ은 g로 써야 합니다.
따라서 김치는 gimchi가 맞지만,
나라밖에 'kimchi'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그러한 표기도 함께 허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저희 집에 드디어 김치냉장고를 들였습니다.
이제는 저도 그 좋아하는 김치를 날마다 먹을 수 있겠네요. ^^*

오늘은 김치 이야기를 좀 할게요.
김치는 침채(沈菜)에서 왔다고 합니다.
딤채, 짐채, 김채 따위로 바뀌면서 오늘날 '김치'가 되었다고 하네요.
이러한 뿌리에 따라 침장(沈藏)이 김장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드리고 싶은 말씀은 김치를 로마자로 어떻게 쓰느냐는 겁니다.
영어로 어떻게 쓰느냐가 아니라 로마자로 어떻게 쓰는냐입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김치를 kimchi나 gimchi로 쓰는 것은 영어로 쓰는 게 아니라 로마자로 쓰는 것이라는 것을 말씀드린 겁니다.

그럼 김치를 로마자로 쓰면 kimchi가 맞나요, gimchi가 맞나요?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현재 쓰는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첫 자음의 ㄱ은 g로 써야 합니다.
따라서 김치는 gimchi가 맞지만,
나라밖에 'kimchi'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그러한 표기도 함께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게 태권도입니다.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Taegwondo로 써야 하나 Taewondo로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좀 다른 것을 짚어보죠.
김치가 고유명사인가요?
고유명사라면 gimchi가 아니라 Gimchi로 써야 합니다.

아쉽게도
김치는 특정한 대상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므로 고유 명사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라면 '김치'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지 않습니다.

쥐꼬리만한 월급 받는 말단 공무원인 저도,
이제는 사람답게 살 수 있습니다. ^^*

기분이 좋아 하나만 더 짚고 갈게요.
김밥 만드는 김을
영어, 아니 로마자로 쓰면 kim이 아니라 gim입니다.
죽었다 깨나도 nori는 아닙니다.

기무치가 아닌 김치가 세계 표준어이듯
노리(のり[노리])가 아닌 김(gim)이 세계 표준어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부모님께 안갚음을...]

제 차는 참 불쌍합니다.
주인을 잘못 만나,
산 지 몇 달 만에 뒤범퍼 좌우를 깨 먹고,
그것도 부족해 앞범퍼도 다른 차와 뽀뽀시키고,
게다가 어제는 펑크까지 났네요.
불쌍한 녀석...

오월을 흔히 가정의 달이라고 하죠?
내일이 어린이날,
다음 주 일요일이 어버이날,
그 다음 주는 스승의 날...

오늘은 좋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하나 알려드릴게요.
여러분 ‘안갚음’이라는 낱말 아세요?
‘앙갚음’과 발음은 비슷한데 뜻은 전혀 다릅니다.

‘안갚음’은 순 우리말로,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을 말합니다.
즉,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뜻하죠.

학교 다니실 때 반포지효라는 고사성어 배웠죠?
그 반포(反哺)와 같은 말입니다.
참 아름답고 고운 우리말인데,
‘앙갚음’과 발음이 비슷해서 쓰기를 주저하는 단업니다.

이 아름다운 오월에
’안갚음’이라는 낱말을 생각하면서,
부모님께 전화 한 통 드리는 것은 어때요?

오늘도 행복하게 지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9
1316 [2013/05/14] 우리말) 새끼낮 머니북 2013-05-14 3561
1315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62
1314 [2008/11/25] 우리말) 늙은호박과 청둥호박 id: moneyplan 2008-11-25 3562
1313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562
1312 [2015/11/10] 우리말) 개비/피우다 머니북 2015-11-10 3562
1311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63
1310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563
1309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63
1308 [2009/12/02] 우리말) 단출과 단촐 id: moneyplan 2009-12-02 3564
1307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564
1306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65
1305 [2008/11/12] 우리말) 한철과 제철 id: moneyplan 2008-11-12 3565
1304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566
1303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566
1302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66
1301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67
1300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67
1299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67
1298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68
1297 [2007/04/18] 우리말) 아이고머니나...... id: moneyplan 2007-04-19 3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