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1] 우리말) 할 말이 없구먼...

조회 수 3560 추천 수 170 2007.12.21 09:46:31
이렇게 멋쩍고 쑥스러울 때는 뒷머리를 긁적거리며,
"할 말이 없구만...쩝..."이라고 합니다.
그렇죠?

앞에서 쓴 말은 '없구만'이 아니라 '없구먼'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올 말까지 우리말 편지 설문을 한다고 했는데요.
어젯밤에 닫았습니다.
좋은 말씀을 해 주신 분들의 이메일 주소가 다 드러나는 바람에 급히 닫았습니다.
혹시라도 그 때문에 어려움을 겪으셨다면 죄송합니다.
미처 거기까지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이렇게 멋쩍고 쑥스러울 때는 뒷머리를 긁적거리며,
"할 말이 없구만...쩝..."이라고 합니다.
그렇죠?

앞에서 쓴 말은 '없구만'이 아니라 '없구먼'이 맞습니다.


'구먼'은 '-군'에서 왔습니다.
'군'은 끝말(어미)로
주로 혼잣말에 쓰여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낼 때 씁니다.
학교가 참 크군, 그것참 그럴듯한 생각이군, 가지가 실하니 열매도 많이 열리겠군처럼 씁니다.

이 '군'에서 나온 말이 '구먼'입니다.
학교가 참 크구먼, 그것참 그럴듯한 생각이구먼, 가지가 실하니 열매도 많이 열리겠구먼처럼 씁니다.

오늘같은 날 저는,
'할 말이 없구먼...'이라고 혼잣말로 중얼거립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조사·어미 오류
끝말 '-구면, -고만'도 모두 '-구먼'으로 써야 합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삼가하세요 >> 삼가세요]

오늘은 일이 있어서 좀 일찍 나왔습니다.
어제 비가 와서 그런지 하늘이 참 맑고 깨끗하네요.
모든 일이,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맑고 깨끗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아침에 잠깐 도서관에 들렀습니다.
도서관 벽면에 있는 글귀가 생각나네요.
“... 하므로, ...는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고 문구에 흔히 나오는 말인데, 참 거슬립니다.

국어사전에 ‘삼가하다’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라는 뜻의 낱말은,
‘삼가다’입니다.
‘말을 삼가다, 어른 앞에서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처럼 씁니다.

‘삼가다’가 기본형이므로,
활용을 하면 ‘삼가, 삼가니, 삼가면, 삼가게’가 되겠죠.
따라서,
‘삼가했으면’, ‘삼가해’는
‘삼갔으면’, ‘삼가’로 써야 바릅니다.
‘하다’를 덧붙여 쓸 필요가 없는 말입니다.

당연히,
‘흡연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는
‘흡연을 삼가주십시오.’로 고쳐야 옳습니다.
즉,
‘삼가하세요.’라고 쓰면 안 되고 ‘삼가세요’라고 써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꺼리다’도
‘꺼리지’, ‘꺼리고’, ‘꺼리게’ 따위로 활용하여 쓰므로
‘꺼려하지 마세요’라고 쓰면 안 되고
‘꺼리지 마세요.’라고 써야 합니다.

행복이란...
생각하기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대요~
가족과 함께 행복한 생각으로 가득 찬 5월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48
1476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12
1475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612
1474 [2010/10/25] 우리말) 매무새와 매무시 moneybook 2010-10-25 3612
1473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612
1472 [2012/01/27] 우리말) 우리말 모임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01-27 3611
1471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3611
1470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611
1469 [2008/01/16] 우리말) 캐주얼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1-16 3611
1468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611
1467 [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머니북 2014-02-26 3610
1466 [2012/06/08] 우리말) 센티미터 머니북 2012-06-08 3609
1465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609
1464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609
1463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608
1462 [2012/10/17] 우리말) 편지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10-17 3608
1461 [2013/08/09] 우리말) 공골차다 머니북 2013-08-12 3607
1460 [2013/11/19] 우리말) 웬과 왠지 머니북 2013-11-19 3607
1459 [2017/04/21] 우리말) 맑순 주세요 머니북 2017-04-22 3606
1458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3606
1457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3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