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31] 우리말) 철들다

조회 수 3197 추천 수 109 2008.01.31 09:12:04
철은 쇠를 뜻하기도 하지만,
계절을 뜻하기도 하고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힘"을 뜻하기도 합니다.
철이 들다, 아이들이 철이 너무 없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한 후배를 만났는데 참 좋은 이야기를 해 주더군요.
"오늘 아침 편지는 형답지 않았다. 차분하게 글을 써야 했는데, 감정이 들어간 것 같았다."라는 말이었습니다.
대 놓고 이야기하지는 않았지만,
나이 사십이 넘었으면 이제 철 좀 들어야 한다는 말 같았습니다.
부끄럽고 창피하더군요.

한 이십 년쯤 전에 있었던 유행어가 생각납니다.
"친구야, 너 포항제철에서 전화 왔더라."
"왜?"
"응, 너 철 좀 드라고..." ^^*
기억나시죠?

"친구야, 너 울릉도에서 전화 왔더라."
"왜?"
"응, 너 엿먹으라고..." ^^*
뭐 이런 거였습니다.

철은 쇠를 뜻하기도 하지만,
계절을 뜻하기도 하고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힘"을 뜻하기도 합니다.
철이 들다, 아이들이 철이 너무 없다처럼 씁니다.

어떤 분은 '철'을
"자연의 이치를 아는 힘"이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사랑하는 후배 상봉아!
철들지 않고 지금처럼 물색없이 새롱거리면 안 된다고 충고해 준 사랑하는 후배야.
고맙다. ^^*

나이가 들수록 가는 세월의 속도가 빠른 것처럼 느낀다고 하죠?
벌써 올 1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아무쪼록 좋은 일만 많이 생기시고,
웃고 까불 수 있는 재밌는 일만 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일본 천황?]

오늘 뉴스를 보니,
‘日王 사이판 한국인평화탑 방문’이라는 기사가 있네요.
아침에 방송에서도 그런 내용이 나오고...

몇 년 전 이야기를 좀 할까요?
일본국왕을 어떻게 쓸지를 두고 언론사마다 제각각 이었던 적이 있습니다.
10년 전쯤에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등이 ‘일왕’으로 썼고,
‘천황’이라고 쓴 곳은 동아일보, 한국일보, MBC 따위며,
대한매일, 문화일보, KBS, SBS는 일왕, 천황, 일황 등 여러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최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 왕을
동아일보, 국민일보, 한국일보, 연합뉴스, KBS는 ‘천황’으로 썼으며,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대한매일, 세계일보, SBS, YTN은 ‘일왕’으로 썼습니다.
그러나 MBC는 유독 ‘일황(日皇)’이라는 ‘독자적인’ 표현을 고집했죠.
MBC는 2001년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천황이라고 부르는 게 글자 뜻 그대로 ‘황제 위의 황제, 하늘의 황제’를 가리키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대통령, 주석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직함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로 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언론사는 그렇고,
정부는 98년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에 갈 때쯤 공식 외교 문서에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 언론인은 “일본의 왕을 천황이라고 호칭하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며
“조선시대의 왕을 ‘왕’으로 부르고 있는 우리가 일본의 왕을 왕보다 한 단계 높은 천황이라고 불러야 하는가”라고 지적한 적도 있습니다.
대체로 일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언론사는
“천황은 일본 사람들이 그들의 왕을 받드는 표현”이고,
“우리 입장에서는 일본 왕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일왕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으로 그렇게 쓰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정치인과 언론도 헷갈리던 일본 왕의 표시였는데,
오늘치 인터넷 뉴스에서는 ‘천황’이나 ‘일황’을 하나도 찾을 수 없네요.
오늘 아침 MBC 방송에서도 ‘일왕’이라고 했습니다. 아마도 방침이 바뀌었나 봅니다.  

농사나 짓고 있는 제가 언론사에서도 헷갈리는 그런 문제를 떠들 수는 없고,
저는 다만, 국어를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내용을 소개하는 것으로 제 할 말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히로히토’를 뒤져보면,
(Hirohito[裕仁])「명」『인』 일본의 제124대 국왕(1901~1989).
1926년에 즉위하여, 제이 차 세계 대전 후에 스스로 천황의 신성(神聖)을 부정하는 ‘인간 선언’을 하였다.
재위 기간은 1926~1989년이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일본의 제124대 국왕’으로...

날씨가 참 맑네요. 여러분 기분도 그렇게 맑고 화창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0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77
436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27
435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273
434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467
433 [2008/02/19] 우리말) 지름길과 에움길 id: moneyplan 2008-02-19 3907
432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02
431 [2008/02/15] 우리말) 간첩의 순 우리말은? id: moneyplan 2008-02-15 4111
430 [2008/02/14] 우리말) 꼴등과 꽃등 id: moneyplan 2008-02-14 3367
429 [2008/02/13] 우리말) 몹쓸과 못쓸 id: moneyplan 2008-02-13 3269
428 [2008/02/12] 우리말) 아! 숭례문... id: moneyplan 2008-02-12 3147
427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493
426 [2008/02/05] 우리말) 설빔 준비하셨나요? id: moneyplan 2008-02-05 3279
425 [2008/02/04] 우리말) 물찌똥 id: moneyplan 2008-02-04 3626
424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355
423 [2008/02/01] 우리말) 술 좀 마셨습니다 id: moneyplan 2008-02-01 4096
»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197
421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491
420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793
419 [2008/01/28] 우리말) 현금을 뜻하는 우리말은? 문제입니다. ^^* id: moneyplan 2008-01-28 3597
418 [2008/01/25] 우리말) 뇌꼴스럽다 id: moneyplan 2008-01-25 3385
417 [2008/01/24] 우리말) 초등학교 교육을 영어로 하겠다고요? id: moneyplan 2008-01-24 4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