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2/20] 우리말) 빚쟁이

조회 수 3491 추천 수 83 2008.02.20 09:40:01
빚쟁이가 뭐죠?
남에게 돈을 빌려서 언젠가는 갚아야 할 사람이죠?
남에게 갚을 빚이 있는 사람을 낮잡아 빚쟁이라고 합니다.
또,
이 빚쟁이는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안개가 짙게 끼었네요.
해가 떴으니 이 안개도 곧 걷히겠죠?
안개가 걷히는 것처럼 안갯속 정국도 걷히길 빕니다.
다행히 오늘쯤 정부조직개편이 마무리될 것 같네요.

오늘도 그렇지만,
가끔은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그날 쓸 우리말편지 주제가 떠오르지 않은 때가 있습니다.
오늘처럼 이렇게 컴퓨터를 켜고 자리에 앉아 있어도 우리말 글감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그런 날은 부담없이 하루쯤 건너뛰고자 합니다. 너무 빠듯하지 않게... 조금은 느슨하게...^^*

오늘처럼 편지를 억지로 써야 할 때는 제가 무슨 빚쟁이라도 된 느낌입니다.
빚쟁이... 이 낱말도 참 재밌는 말입니다.

빚쟁이가 뭐죠?
남에게 돈을 빌려서 언젠가는 갚아야 할 사람이죠?
남에게 갚을 빚이 있는 사람을 낮잡아 빚쟁이라고 합니다.
소를 키우다 하루아침에 빚쟁이가 된 농민처럼 씁니다.

또,
이 빚쟁이는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는 빚 독촉에 못 이겨 집을 빚쟁이에게 넘기고 말았다처럼 씁니다.

재밌죠?
한 낱말이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잖아요.

언젠가 소개해드린 '에누리'도 이런 낱말입니다.
물건을 팔 사람이 제값보다 낮게 부르는 것도 에누리고,
물건을 팔 사람이 제값보다 높게 부르는 것도 에누리입니다.

따라서
사과를 에누리해서 판다고 하면,
제값보다 높게 바가지를 씌운다는 뜻도 되고
제값보다 낮게 깎아준다는 뜻도 있습니다.

빚쟁이와 에누리로 이렇게 하루를 또 때웁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빚쟁이가
빚을 진 사람인지, 빚을 받을 사람인지 헷갈리시면,
'빚꾸러기'라는 낱말을 써 보세요.
"빚을 많이 진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빚쟁이는 빚을 받을 사람,
빚꾸러기는 빚을 진 사람...^^*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뜬금없다]

어제는 고향 친구가 오랜만에 전화를 했더군요.
20년쯤 된 것 같은데,
워낙 뜬금없는 전화라서 제대로 인사도 못하고 끊었습니다.
오랜만에 전화해 준,
그 친구에게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길 조용히 빌어봅니다.

‘뜬금없다’라는 말 아시죠?
갑작스럽고도 엉뚱하다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이 ‘뜬금없다’라는 말이 어디서 생긴 말인지 아세요?

옛날 시골장에는 말감고가 있습니다.
곡식을 팔고 사는 시장판에서
되질하거나 마질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던 사람을 말감고라고 하는데요.
이 말감고가
한 되에 얼마인지 그날의 시세를 정했다고 합니다.
말감고가 정한 곡물 시세인 ‘띄운 금’에서 ‘뜬금’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따라서,
‘뜬금없다’라는 말은,
띄운 금이 없는, 곧, 시세가 없는 황당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었고,
지금은 갑작스럽거나 엉뚱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 된 거죠.

어제 고향 친구의 뜬금없는 전화를 받고,
저도 다른 친구에게 뜬금없는 안부 전화를 몇 통 했습니다.

오늘도 행복이 머리위에서 웃고 있네요.
보이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1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0
1616 [2015/06/11] 우리말) 나들못 머니북 2015-06-12 3607
1615 [2011/12/22] 우리말) 댕돌같다 머니북 2011-12-22 3607
1614 [2011/01/13] 우리말) 때마침 moneybook 2011-01-13 3607
1613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607
1612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07
1611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607
1610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05
1609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605
1608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05
1607 [2012/01/17] 우리말) 설과 구정 머니북 2012-01-17 3605
1606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05
1605 [2007/07/26] 우리말) 생률이 아니라 날밤입니다 id: moneyplan 2007-07-26 3605
1604 [2013/05/09] 우리말) 함함하다 머니북 2013-05-10 3603
1603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603
1602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02
1601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602
1600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602
1599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602
1598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00
1597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3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