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12] 우리말) 비게질

조회 수 3769 추천 수 84 2008.03.12 09:38:38
어렸을 때 소가 가끔 담벼락이나 짚단에 몸을 비비는 것을 봤습니다.
그건 아마 가려워서 그랬을 겁니다.
그게 바로 '비게질'입니다.
"말이나 소가 가려운 곳을 긁느라고 다른 물건에 몸을 대고 비비는 짓"이죠.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7:42, KBS2,
"낙지가 피로회복에 좋다."라고 했습니다.
피로를 회복해서 어디에 쓰시려는지 모르겠습니다.
원기를 회복한다면 몰라도...

어젯밤 이산에서 왕으로 나오는 이서진 씨가 김정은 씨에게 노래를 부르더군요.
참 멋졌습니다. 역시 젊음과 사랑은 좋은 겁니다. ^^*
보는 제가 기분이 참 좋고 마음이 따뜻해지더군요.
오늘 날씨도 따뜻하다죠? ^^*

요즘은 점심 드시고 운동장을 한 바퀴 도시거나 호수를 한 바퀴 도시는 분들이 많네요.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는 서호라는 호수가 있습니다.
제 자리에서 일어나 1분만 걸어가면 있습니다. ^^*
그 호수는 요즘 이산에 나오는 정조대왕이 판 호수입니다.
그 호수 둑에는 소나무가 몇 그루 있습니다.
정조가 호수를 판 뒤 농사짓는 백성이 편히 쉴 수 있도록 그늘을 만들고자 심은 소나무라고 합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호숫가를 돌면서 산책을 하는 것은 좋은데,
왜 죄 없는 나무에 대고 배나 등을 치느냐는 겁니다. 나무가 무슨 죄가 있다고...
제 생각에 그냥 흙을 밟고 걷는것 만으로도 몸에 좋을 텐데,
왜 굳이 나무에 몸을 부딪치는지 모르겠습니다.
누군가 그냥 서 있는 사람을 툭툭 친다면 좋겠어요?
배나 등이 가려워서 그러실까요? ^^*

어렸을 때 소가 가끔 담벼락이나 짚단에 몸을 비비는 것을 봤습니다.
그건 아마 가려워서 그랬을 겁니다.
그게 바로 '비게질'입니다.
"말이나 소가 가려운 곳을 긁느라고 다른 물건에 몸을 대고 비비는 짓"이죠.

산책하시면서 소나무에 몸을 비비고 치시는 분들을 보면 두 가지 생각이 납니다.
첫째는 소나무가 불쌍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그 사람이, 비게질하는 그 사람이 소나 말로 보입니다. ^^*

아래 사진은 제 일터 옆 서호에 있는 소나무입니다.
http://ojsfile.ohmynews.com/down/images/1/sol119_6035_347[551485].jpg

여기서 문제를 낼게요.
이 소나무 앞에 서 있는 사람의 이름이 뭘까~~~요.

맨 먼저 답을 보내주시는 분께 작은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아침에 팀장님께서 흐뭇한 웃음을 지으시면서
"그냥, 괜히 기분이 좋다."라고 하시네요.
그냥, 괜히, 기분 좋게,
많이 웃으시면서 하루를 보내시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다음 인터넷 사전이 많이 바뀌었다네요.
http://www.newswire.co.kr/read_sub.php?id=321522&no=0&tl=&nmode=&ca=&ca1=미디어-&ca2=&sf=&st=&of=&nwof=&conttype=&tm=1&type=&hotissue=&sdate=&eflag=&emonth=&spno=&exid=&rg1=&rg2=&rg3=&tt=

한글학회 김승곤 회장 인터뷰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ArticleMPIC/YIBW_showArticleMPICPopup.aspx?contents_id=MYH20080310006200355

<시국토론> "영어 몰입 정책, 국가 경쟁력 좀먹는다"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8374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6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65
456 [2012/05/11]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2-05-11 4353
455 [2016/06/16] 우리말) 엽다/가엾다 머니북 2016-06-17 4356
454 [2006/10/09] 우리말) 돈 될 천 원짜리 지폐 id: moneyplan 2006-10-09 4357
453 [2017/04/27] 우리말) 게정/어기대다 머니북 2017-04-27 4362
452 [2011/07/07] 우리말) 구실아치 머니북 2011-07-07 4363
451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363
450 [2012/02/09] 우리말) 좋은 하루 되세요 머니북 2012-02-09 4367
449 [2007/03/29] 우리말) 박진감 넘치는 경기 id: moneyplan 2007-03-29 4370
448 [2008/01/04] 우리말) 해포이웃 id: moneyplan 2008-01-04 4372
447 [2011/07/28] 우리말) 호우와 큰비 머니북 2011-07-29 4373
446 [2015/05/13] 우리말)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 머니북 2015-05-13 4374
445 [2007/01/06] 우리말) 단출, 차지다, 더 이상 id: moneyplan 2007-01-08 4376
444 [2015/01/19] 우리말) 총각김치(2) 머니북 2015-01-19 4379
443 [2015/04/20] 우리말) 덥석 머니북 2015-04-20 4382
442 [2013/11/01] 우리말) 꽃잠과 말머리아이 머니북 2013-11-01 4387
441 [2015/12/06]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07 4387
440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4388
439 [2008/09/17] 우리말) 데코레이션과 장식 id: moneyplan 2008-09-17 4391
438 [2012/11/22] 우리말) 애꿎다/애먼 머니북 2012-11-22 4392
437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