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조회 수 3608 추천 수 76 2008.03.31 08:30:35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고,
배의 안쪽은 '배 속'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토요일 아침 8:28, KBS1,
물방울이 엄마 뱃속에서 아기를 만났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고,
배의 안쪽은 '배 속'이 맞습니다.

일요일 아침 9:36, MBC,
'들이 대주길 바래'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바래다는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는 뜻이고,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는 뜻의 낱말은 '바라다'입니다.
3분 뒤, "어머님이 머리를 묶어줬다"라고 했습니다.
자기 어머니에게는 '어머님'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일요일 아침 10:38, KBS1,
KBS한국어능력시험을 안내하는 자막에서
'접수 : 4. 18일까지'라고 했습니다.
시험을 보고자 하는 사람은 원서를 KBS에 제출하거나 내는 것이지,
접수하거나 받는 게 아닙니다.
접수하거나 받는 일은 KBS에서 하는 일이므로 자막에는 '제출'이라고 나갔어야 합니다.
시험 보는 사람이 방송국에서 와서 접수하라는 뜻이 아니라면...

일요일 아침 11:48, SBS,
'이 꽃은'의 발음을 [이 꼬즌]이라고 했습니다.
[이 꼬츤]이 맞습니다.
[꼬치] 예쁜 것이지, [꼬지] 예쁜 게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의기충전 --> 의기충천]

요즘 제가 힘이 좀 빠져 있습니다.
왠지 의욕이 별로 없네요.
어제는 일터에서 좀 찜찜한 일도 있었고...

늘 의기충천한 상태로 살 수는 없지만,
그래도 사무실이 화목하고 재밌으면 좋은데...
하긴, 이 꼴 저 꼴 다 보기 싫으면 혼자 살아야죠 뭐.
근데 저는 혼자 살 위인은 못되니...
별 수 없이 오늘도 고달픈 삶의 끄나풀을 당겨 봅니다.

‘의기충천’은,
意氣衝天으로,
“뜻한 바를 이루어 만족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함”이라는 뜻입니다.
‘적군을 무찌른 군사들은 의기충천한 소리를 질렀다.’처럼 쓰죠.

그런데 가끔은 이 낱말을,
‘의기충전’이라고 쓰는 분이 있습니다.
아마도,
“축전지나 축전기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일”인
‘충전’을 생각해서 그렇게 쓰는 것 같은데,
틀린 겁니다.
의기충천(意氣衝天)입니다.
한자로 보니까 쉽죠?

“기세가 좋은 적극적인 마음”을 의기(意氣)라고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보면,
의기소침(意氣銷沈) : 의기(意氣)가 쇠하여 사그라짐.
의기양양(意氣揚揚) : 의기(意氣)가 대단한 모양.
의기충천(意氣衝天) : 의기(意氣)가 하늘을 찌름
입니다.

오늘도 다시,
‘기세 좋은 적극적인 마음’으로,
의기소침에서 벗어나,
의기양양하게 생활해서,
곧 의기충천하는 좋은 일을 만들겠습니다.

여러분!
아자! 아자! 아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8
1456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3593
1455 [2013/10/21] 우리말) 돌부리 머니북 2013-10-21 3594
1454 [2013/10/15] 우리말) 여태껏 머니북 2013-10-15 3594
1453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94
1452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94
1451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595
1450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595
1449 [2011/01/27] 우리말) 빨간색과 빨강색 moneybook 2011-01-27 3596
1448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96
1447 [2007/05/15] 우리말) 손수 만든 꽃? id: moneyplan 2007-05-15 3597
1446 [2009/05/18] 우리말) 준말과 줄어든 말 id: moneyplan 2009-05-18 3597
1445 [2012/06/19] 우리말) 수키와 머니북 2012-06-19 3597
1444 [2013/08/08] 우리말) '우편 번호' 띄어쓰기 머니북 2013-08-08 3598
1443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98
1442 [2008/05/30] 우리말) 무색 치마 id: moneyplan 2008-06-03 3599
1441 [2009/06/11] 우리말) 주책과 주착, 채비와 차비 id: moneyplan 2009-06-11 3599
1440 [2011/04/26] 우리말) 야식은 밤참으로 ^^* moneybook 2011-04-26 3599
1439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3599
1438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599
1437 [2007/12/30] 우리말) 내광쓰광 id: moneyplan 2007-12-31 3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