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조회 수 3504 추천 수 127 2008.04.01 11:04:36
"인사로 하는 말"은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인사말]입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혼잣말, 존댓말 따위는 표준 발음이 [혼잔말], [존댄말]로 'ㄴ'이 들어가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제가 일하는 과의 과장님이 바뀌셨습니다.
2년 전에 연구소에서 일하는 저를 이곳 본청으로 데려오신 과장님이신데,
어제 과장 임기를 마치고 본래 일하시던 연구소로 돌아가신 거죠.

저도 빨리 이곳 일을 잘 마무리하고 연구소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가서 논문이라도 한 편 더 써야 나중에 연구원이라고 명함 내밀죠. ^^*

어제 과장님이 떠나시면서 하신 인사 말씀이 생각나네요.

오늘은 과장님 생각하면서 인사말씀과 인사말을 볼게요.

먼저,
"인사로 하는 말"은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인사말]입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혼잣말, 존댓말 따위는 표준 발음이 [혼잔말], [존댄말]로 'ㄴ'이 들어가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습니다.

어제 삼척시에서 나온 동굴 여행 오시라는 안내장을 봤습니다.
맞춤법 틀린 데가 몇 군데 있네요.(스캔하여 붙입니다.)

그 전단에 '인사말'이라고 씌어있었습니다.
'인삿말'이 아닌 것은 잘되었는데,
'인사말'이 아니라 '인사 말씀'이라고 써야 합니다.
'말씀'은 남의 말을 높여 이르기도 하지만,
자기의 말을 낮추어 이르기도 합니다.
따라서 삼척시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동굴 여행을 안내할 때는 '인사 말씀'이 맞습니다.

윤순강 과장님,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연구원에 돌아가셔도 항상 건강하시고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쑥맥 >> 숙맥]

점심 맛있게 잘 드셨나요?

저는 지금 고향에 와 있습니다.
어제 낮에 갑자기 어머니가 병원에 가시게 되어서 부랴부랴 내려왔습니다.
막상 어머니가 편찮으시다는 말을 듣고, 병원으로 모시긴 했지만,
제가 병원에 아는 사람도 없고, 아는 상식도 없으니 정말 막막하더군요.
다행히 고향 선배님 덕분에 쉽게 병원으로 모시긴 했지만,
제가 그 분야에는 너무나 숙맥이라서 무척 당황했습니다.

흔히,
콩(菽)인지 보리(麥)인지 분별 못하는 사람을,
‘숙맥불변(菽麥不辨)’이라고 하고 그걸 줄여서 ‘숙맥’이라고 합니다.
근데 이 ‘숙맥’을 ‘쑥맥’이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숙맥’은,
바보, 천치, 등신, 맹추, 먹통이라는 뜻이고,
얼간이, 맹꽁이, 멍청이, 머저리, 칠뜨기, 득보기, 바사기, 째마리, 멍텅구리, 어리보기라는 뜻입니다.
바로 어제의 저를 두고 한 말이더군요.
딱 저를 두고 한 말입니다.

어머니가 편찮으셔서 모든 일 다 제쳐놓고 내려오긴 했지만,
그 선배님 아니면 큰 봉변을 당할 뻔 했습니다.
선배님 고맙습니다.

아무래도 이번 주에는 우리말 편지를 못 보낼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일 많이 만드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74
876 [2017/08/22] 우리말) 반려견 머니북 2017-08-23 3851
875 [2011/07/05] 우리말) 갈망 머니북 2011-07-05 3852
874 [2012/06/25] 우리말) '엉큼하다'와 '응큼하다' 머니북 2012-06-25 3852
873 [2013/06/10] 우리말) 말길이 바로잡혀야 한다 머니북 2013-06-10 3852
872 [2014/11/24]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프로 머니북 2014-11-24 3852
871 [2017/05/01] 우리말) 허점과 헛점 머니북 2017-05-06 3853
870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3854
869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854
868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854
867 [2011/12/30] 우리말) 일출과 해돋이 머니북 2011-12-30 3854
866 [2008/03/21] 우리말) 주꾸미와 쭈꾸미 id: moneyplan 2008-03-21 3855
865 [2017/02/01] 우리말) 햇귀 머니북 2017-02-01 3856
864 [2010/01/05]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10-01-05 3858
863 [2010/10/01] 우리말) 빼닮다와 빼쏘다 moneybook 2010-10-01 3858
862 [2014/04/03] 우리말) 허점 머니북 2014-04-03 3858
861 [2007/02/25] 우리말) 맞춤법이 엉망인 어머니 편지... 또... id: moneyplan 2007-02-27 3859
860 [2017/09/11] 우리말) 염좌 머니북 2017-09-11 3860
859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62
858 [2011/11/14] 우리말) 막히다와 밀리다 머니북 2011-11-14 3862
857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