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조회 수 3640 추천 수 117 2008.04.03 11:37:49
쎄쎄쎄는 일본말 せっせっせ[쎄]에서 왔다고 합니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의 준비동작이라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어제까지 봄비가 내리더니 오늘 날씨는 더 좋을 것 같네요.

며칠 전에 애들이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하면서 놀더군요.
그걸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저것은 일본말인데...

쎄쎄쎄는 일본말 せっせっせ[쎄]에서 왔다고 합니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의 준비동작이라고 하네요.

제 생각에는
接(せっ)する에서 온 것 같습니다.
놀이 전에 둘이 손을 맞잡은 것에서 온 것 같습니다.
우리말편지를 일본에서도 많이 받아보시니까 일본에 계신 분 가운데 이 말의 뿌리를 아시는 분은 댓글을 보내주십시오.
내일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하겠습니다.

제 기억에,
아침바람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우리 선생 계신 곳에 엽서 한 장 써주세요 (한 장 말고 두 장이요 두 장 말고 세 장이요) 구리구리구리구리 가위바위보
이런 노랫말이었던 것 같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구리구리'도 くり-くり[구리구리]라는 일본말입니다.
1. (작은 물건이) 가볍게 움직이는[돌아가는] 모양. 획획. 빙빙.
2. 둥글고 귀여운 모양. 동글동글. 포동포동.
3. 머리를 짧게 깎은 모양. 빡빡.
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넋이 제대로 들어 있지 않은 어린아이들 놀이에 일본말이 많다는 게 참 가슴 아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손톱깍이]

오늘은 아침 일찍 논에 나갔다 왔습니다.
모 낸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가짓거름 줄 때가 됐네요.

거름을 주고 나서 씻으면서 보니까
손톱 밑에 비료 알갱이가 몇 개 보이네요.
게으른 사람은 손톱이 빨리 자란다는데,
제가 바로 그런가 봅니다.

여러분도 손톱 깎으시죠?
손톱을 자를 때 쓰는 기구를 뭐라고 하죠?
손톱깎이? 손톱깎기?

연필 깎는 기구는 뭐라고 하죠?
연필깎이? 연필깎기?

‘깎이’와 ‘깎기’는 다릅니다.

‘깎이’는 ‘깎다’라는 동사의 어간에
사람, 사물 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이’가 붙은 겁니다.
때밀이, 구두닦이, 젖먹이, 재떨이, 옷걸이, 목걸이, 감옥살이, 가슴앓이 따위죠.
또한,
‘-이’는 명사, 형용사, 의성어, 의태어 따위에 붙어,
사람, 사물의 뜻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절름발이, 애꾸눈이, 멍청이, 똑똑이, 뚱뚱이, 딸랑이, 짝짝이 따위죠.

‘깎기’는 ‘깎다’라는 동사에 명사 구실을 하는
‘-기’가 붙은 형태로 어떤 행위를 말합니다.
“나 손톱 깎기 싫어!”, (손톱을 깎는 행위가 싫다)
“연필 깎기는 정말 귀찮아” (연필을 깎는 그 행위가 귀찮다)
따위로 씁니다.

정리하면,
사람이나 물건, 일 따위에는 ‘-이’가 붙고,
어떤 행위에는 ‘-기’가 붙는다고 기억하시면 쉽습니다.

오늘 하루도 좋은 일 많이 만드시고,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46
1496 [2007/12/06] 우리말) 가마리 id: moneyplan 2007-12-06 3572
1495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72
1494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572
1493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73
1492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573
1491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574
1490 [2007/06/27] 우리말) 선거철이 벌써 시작되었나 봅니다 id: moneyplan 2007-06-27 3576
1489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576
1488 seernews 운영자의 링크(link)가 있는 이야기 id: moneyplan 2008-11-11 3576
1487 [2009/10/01] 우리말) 기쁨과 행복이 가득한 한가위로 보내시길 빕니다 id: moneyplan 2009-10-01 3576
1486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577
1485 [2013/10/29]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3-10-29 3577
1484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3577
1483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578
1482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78
1481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3578
1480 [2014/02/07] 우리말) 불임이 아니라 난임 머니북 2014-02-10 3579
1479 [2017/01/24] 우리말) 서덜/서더리 머니북 2017-01-24 3579
1478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80
1477 [2008/06/05] 우리말) 오늘은 망종입니다 id: moneyplan 2008-06-05 3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