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07] 우리말) 꽃보라

조회 수 3581 추천 수 129 2008.04.07 08:17:46
'꽃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가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를 뜻해
'눈보라'는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하고",
'물보라'는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 물방울"을 뜻합니다.
'꽃보라'는 당연히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어요?

저는 고향에 가서 작년에 이장한 아버지 산소에 나무를 몇 그루 심고 왔습니다.
나무를 심고 나서는 고추밭에 비닐도 덮었습니다.
오랜만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와 둘이서 삽을 들고 손을 맞추니 기분이 참 좋더군요.
옆에서는 흐드러지게 핀 꽃잎이 날리고...

'꽃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가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를 뜻해
'눈보라'는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하고",
'물보라'는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 물방울"을 뜻합니다.
'꽃보라'는 당연히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어제는 고작 나무 몇 그루 심고 왔지만,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며
아버지가 누워계시고, 나중에 어머니도 함께 누우실 곳에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꽃으로 꽃동산을 만들어 드리고 싶습니다.
'꽃동산'은 "꽃이 많이 피어 있는 동산. 아름다운 꽃으로 덮인 동산"입니다.
화원(花園) 보다는 '꽃동산'이 더 멋있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윤중로 벚꽃 축제]

사무실 앞에 있는 벚나무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네요.
오늘은 벚꽃 이야기를 해 볼게요.
진해 벚꽃이 활짝 피었으니, 이제 곧 여의도 '윤중로 벚꽃 축제'를 한다는 말이 나오겠네요.

<제가 대충 아는 내용>
1. 벚꽃의 원산지는 일본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대만이다.
2. 지금 일본의 벚꽃은 제주도에서 자라난 토종 왕벚꽃을 가져가서 개량한 것이다.
3. 우리나라 꽃이 무궁화라는 것은 대통령령으로 나와있지만, 일본 나라꽃이 벚꽃이라는 것은 일본 법률에 없다.
(따라서 아름다운 벚꽃을 보고 일본 나라꽃이라는 이유로 억지로 싫어하거나 미워하실 필요는 없으실듯...)

<제가 확실히 아는 내용>
'윤중로'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입니다.
윤중로(輪中路)는 윤중제(輪中堤)에서 온 말입니다.
'제'는 방죽 제(堤) 자 이므로 윤중제는 윤중방죽이라는 말이 되겠죠.
이제 윤중을 알아보죠.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는 '윤중'이라는 말이 없습니다.
일본사전을 보죠.
輪中은 わじゅう[와쥬우]로 '에도시대 물난리를 막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마을이 둑으로 싸여 물막이 협동체를 이룬 것'이라고 나와있군요.
輪中堤를 찾아보니, わじゅうてい[와쥬떼이]로 '강 가운데 있는 섬 주위를 둘러싸게 축조한 제방'이라고 나와있네요.

이렇게 윤중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일본말입니다.
그걸 가져다 우리는 '윤중'이라고 그냥 읽은 겁니다.
거기에 길을 내 놓고 윤중로(輪中路)라 하고...

제가 알기에,
산에서 내려오는 강어귀에 마을이 있거나 하여 강물이 불면 그 물에 마을이 잠기므로 마을 둘레에 둑을 쌓아 물을 막는데,
그 둑이 바로 '방죽'입니다.

따라서,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은 '방죽'에 난 '길'입니다.
일본말인 윤중로가 아니죠.
제가 알기에는, 1986년 서울시가 윤중제를 '여의방죽'으로 고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길은 윤중로가 아니라 여의방죽길이겠죠.
그런데 왜 방송에서는 여전히 여의방죽이나 여의방죽길, 여의둑길로 안 쓰고 윤중로를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낱말 몇 개를 소개합니다.
방죽 : 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둑 : 높은 길을 내려고 쌓은 언덕.
둔치 : 물가의 언덕.
섬둑 : 섬의 둘레를 둘러쌓은 둑.

보태기)
1. 저는 우리나라를 사랑합니다. 오늘 편지의 주제는 벚꽃을 사랑하고, 벚꽃을 보고 즐기자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벚꽃을 즐기지 말지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윤중'이나 '윤중로'를 쓰지 말자는 겁니다.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윤중제(輪中堤)가 실려있는데,
'강섬의 둘레를 둘러서 쌓은 제방.'이라 풀어놓고, '둘레 둑', '섬둑'으로 다듬었습니다.

3. 벚꽃 축제에서,
축제(祝祭, しゅくさい[슉사이])도 일본어투 말입니다.
'기쁜 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차려 놓고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은 '잔치'입니다.

4. 어제 인터넷 뉴스에서 보니,
우리나라 대단위 벚꽃 나무들이 일본의 교묘한 문화침탈의 일환으로 심어졌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258&PCode=0007&DataID=2006040315530001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93
1136 [2014/03/20] 우리말) 엊그제 머니북 2014-03-20 3636
1135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37
1134 [2008/08/07]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밀국수 id: moneyplan 2008-08-07 3638
1133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638
1132 [2008/06/02]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03 3639
1131 [2009/10/14] 우리말) 노총 id: moneyplan 2009-10-14 3639
1130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3639
1129 [2011/01/13] 우리말) 때마침 moneybook 2011-01-13 3639
1128 [2011/04/25] 우리말) 요금, 값, 삯, 비 moneybook 2011-04-25 3639
1127 [2014/06/1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4-06-19 3639
1126 [2008/07/07] 우리말) 인제와 이제 id: moneyplan 2008-07-07 3641
1125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641
1124 [2016/12/27] 우리말) 해끝 머니북 2016-12-29 3641
1123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642
1122 [2010/03/18] 우리말) 낚지와 낙지 id: moneyplan 2010-03-19 3642
1121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642
1120 [2010/12/02] 우리말) 책 소개(사쿠라 훈민정음) moneybook 2010-12-02 3643
1119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643
1118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645
1117 [2011/05/13] 우리말) 안전띠 moneybook 2011-05-14 3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