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조회 수 3356 추천 수 83 2008.04.22 06:48:59
'아기', '아가', '아이'는 있어도 '애기'는 없습니다.
'아이'의 준말은 '애'이지 '애기'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맨날'이라는 말이 많이 드리네요.
"매일같이 계속하여서"라는 뜻의 낱말은 '맨날'이 아니라 '만날'입니다.
만날 그 모양이다, 너는 시험이 코앞인데 만날 놀기만 하니?처럼 씁니다.

지난주 토요일 오후 1:48, KBS 라디오에서 진행자가 '애기'라고 했습니다.
'아기', '아가', '아이'는 있어도 '애기'는 없습니다.
'아이'의 준말은 '애'이지 '애기'가 아닙니다.

곧이어 53분에
"곤혹을 치루다"고 했습니다.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은 '곤혹'이 아니라 '곤욕'입니다.
또,
"무슨 일을 겪어 내다."는 뜻의 낱말은 '치루다'가 아니라 '치르다'입니다.
시험을 치르다, 잔치를 치르다처럼 쓰지,
시험을 치루다, 잔치를 치루다로 쓰지 않습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치루다'는 아마도 의사선생님들만 쓸 수 있는 말일 겁니다.
치질 환자를 보는 의사선생님이 '어, 이거 치핵이 아니라 치루다'라고 하실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이번 주는 방송에서 고운 말, 바른말만 듣기를 빕니다.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고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걸리적거리다 =>> 거치적거리다]

어제는 논에서 벼를 벴습니다.
달포 전에는 벼가 많이 쓰러져서 그걸 서너 포기씩 잡고 일일이 묶어 줬는데,
어제 벼를 베다 보니 그렇게 묶어놓은 게 무척 걸리적거리더군요.
벼를 베기 전에 묶은 끈을 일일이 끊어줬습니다.
역시 농사는 하느님께 착하게 보여야 한다는데...저는 그렇지 못해서 이렇게 큰 고생을 하나 봅니다.

흔히,
“거추장스럽게 자꾸 여기저기 걸리거나 닿다.”는 뜻으로
‘걸리적거리다’라는 표현을 쓰는데요. 이것은 틀렸습니다.
‘거치적거리다’가 맞습니다.
‘걸리적거리다’는 ‘거치적거리다’의 잘못입니다.

뭔가 이상하다고요?
그럼 사전을 뒤져보세요.
제가 가지고 있는 사전에는 이렇게 나와 있네요.
‘걸리적거리다’ : ‘거치적거리다의 잘못’

오늘도 이슬이 걷히자마자 논에 나가야 합니다.
오늘도 힘든 하루를 보낼 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7
1236 [2007/12/20] 우리말)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께 별명을 지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7-12-20 3419
1235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418
1234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418
1233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18
1232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18
1231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418
1230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17
1229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416
1228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16
1227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416
1226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415
1225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15
1224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3414
1223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14
1222 [2012/12/07] 우리말) 영어 교육 머니북 2012-12-10 3414
1221 [2014/04/17] 우리말) 풋낯 머니북 2014-04-17 3413
1220 [2012/02/01] 우리말) 제연경계벽 머니북 2012-02-02 3413
1219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13
1218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12
1217 [2016/01/06] 우리말) 사과나무 머니북 2016-01-06 3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