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뜻'과 비슷한 '어뜩'이라는 어찌씨도 있습니다.
"지나치는 결에"라는 뜻으로
나도 그 말을 어뜩 들은 것 같다, 어뜩 보았기 때문에 누군지 잘 모르겠다처럼 씁니다.

저는 아침마다 KBS2에서 9시에 하는 아침 연속극을 봅니다.
어뜩 보거나, 언뜻 보거나, 얼핏 스치듯 보는 게 아니라 떳떳하게 내 놓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뉴스에서
MBC는 '천황'이라 했고,
KBS는 '일왕'이라 했고,
SBS는 '日王'이라고 했습니다.
예전에 보낸 편지를 밑에 붙입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저는 어제부터 일터에서 오전 9시에 텔레비전을 봅니다.
그것도 연속극을 봅니다.
바로 KBS2에서 하는 '난 네게 반했어'입니다.

웃분들 눈치 보면서 어뜩 보는 게 아니라
떳떳하게 봅니다.
그래도 안 잘리느냐고요? 글쎄요... ^^*

우리말에 '언뜻'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지나는 결에 잠깐 나타나는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얼핏'이라는 낱말과 같은 뜻으로
언뜻 보이다, 희디흰 속살이 언뜻 눈을 스쳤다처럼 씁니다.

'언뜻'과 비슷한 '어뜩'이라는 어찌씨도 있습니다.
"지나치는 결에"라는 뜻으로
나도 그 말을 어뜩 들은 것 같다, 어뜩 보았기 때문에 누군지 잘 모르겠다처럼 씁니다.

저는 아침마다 KBS2에서 9시에 하는 아침 연속극을 봅니다.
어뜩 보거나, 언뜻 보거나, 얼핏 스치듯 보는 게 아니라 떳떳하게 내 놓고 봅니다.

왜 그러냐고요?
그 연속극이 바로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을 주 무대로 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에서 일하는 두 연구사의 아름다운 사랑을 담은 연속극이라서
웃분들 눈치 보지 않고 떳떳하게 봅니다.

이 연속극은
불륜과 고부갈등, 치정 따위 싸구려 소재를 주로 다뤘던 예전 아침연속극과는 달리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진 세 가족이 서로 얽히며 벌어지는 소동과 사랑을 신선하고 경쾌한 감각으로 보여준다고 합니다.

방송사 기획의도에도 '시청자들의 새 아침에 건강하고 상쾌한 에너지를 불어넣고 싶다.'라고 되어 있네요.
여러분도 저와 같이 이 연속극에 빠져보실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방송을 소개한 기사가 있어 붙입니다.
http://www.e-goodnews.co.kr/sub_read.html?uid=88421§ion=section5

2.
어제 첫 방송이라서 일터에서 그 연속극을 봤고,
앞으로는 일터에서는 못보고 퇴근하고 나서 인터넷으로 볼 겁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일본 천황?]

오늘 뉴스를 보니,
‘日王 사이판 한국인평화탑 방문’이라는 기사가 있네요.
아침에 방송에서도 그런 내용이 나오고...

몇 년 전 이야기를 좀 할까요?
일본국왕을 어떻게 쓸지를 두고 언론사마다 제각각 이었던 적이 있습니다.
10년 전쯤에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등이 ‘일왕’으로 썼고,
‘천황’이라고 쓴 곳은 동아일보, 한국일보, MBC 따위며,
대한매일, 문화일보, KBS, SBS는 일왕, 천황, 일황 등 여러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최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 왕을
동아일보, 국민일보, 한국일보, 연합뉴스, KBS는 ‘천황’으로 썼으며,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대한매일, 세계일보, SBS, YTN은 ‘일왕’으로 썼습니다.
그러나 MBC는 유독 ‘일황(日皇)’이라는 ‘독자적인’ 표현을 고집했죠.
MBC는 2001년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천황이라고 부르는 게 글자 뜻 그대로 ‘황제 위의 황제, 하늘의 황제’를 가리키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대통령, 주석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직함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로 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언론사는 그렇고,
정부는 98년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에 갈 때쯤 공식 외교 문서에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 언론인은 “일본의 왕을 천황이라고 호칭하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며
“조선시대의 왕을 ‘왕’으로 부르고 있는 우리가 일본의 왕을 왕보다 한 단계 높은 천황이라고 불러야 하는가”라고 지적한 적도 있습니다.
대체로 일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언론사는
“천황은 일본 사람들이 그들의 왕을 받드는 표현”이고,
“우리 입장에서는 일본 왕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일왕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으로 그렇게 쓰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정치인과 언론도 헷갈리던 일본 왕의 표시였는데,
오늘치 인터넷 뉴스에서는 ‘천황’이나 ‘일황’을 하나도 찾을 수 없네요.
오늘 아침 MBC 방송에서도 ‘일왕’이라고 했습니다. 아마도 방침이 바뀌었나 봅니다.  

농사나 짓고 있는 제가 언론사에서도 헷갈리는 그런 문제를 떠들 수는 없고,
저는 다만, 국어를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내용을 소개하는 것으로 제 할 말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히로히토’를 뒤져보면,
(Hirohito[裕仁])「명」『인』 일본의 제124대 국왕(1901~1989).
1926년에 즉위하여, 제이 차 세계 대전 후에 스스로 천황의 신성(神聖)을 부정하는 ‘인간 선언’을 하였다.
재위 기간은 1926~1989년이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일본의 제124대 국왕’으로...

날씨가 참 맑네요. 여러분 기분도 그렇게 맑고 화창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27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8295
496 [2008/05/16] 우리말) 게와 개 가르기 id: moneyplan 2008-05-23 3734
495 [2008/05/14] 우리말) 저승꽃과 검버섯 id: moneyplan 2008-05-15 2998
494 [2008/05/15]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15 3101
493 [2008/05/13] 우리말) 졸리다와 졸립다 id: moneyplan 2008-05-13 2843
492 [2008/05/10]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05-10 3159
491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379
490 [2008/05/08] 우리말) 안전선 안과 밖 id: moneyplan 2008-05-08 3257
489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2929
488 [2008/05/0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5-07 3815
487 [2008/05/02] 우리말) 몰강스럽다 id: moneyplan 2008-05-02 3351
486 [2008/05/01] 우리말) 짜뜰름짜뜰름 id: moneyplan 2008-05-02 3270
485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599
484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424
483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643
482 [2008/04/25] 우리말) 가르치다의 말뿌리 id: moneyplan 2008-04-27 3702
481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488
480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293
» [2008/04/22] 우리말) 저는 9시에 연속극을 봅니다 ^^* id: moneyplan 2008-04-22 3090
478 [2008/04/2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4-22 3291
477 [2008/04/19] 우리말) 미스킴과 라일락 id: moneyplan 2008-04-21 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