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조회 수 3538 추천 수 96 2008.04.29 10:52:18
텔레비전에 나온
된장을 세 번 걸러 건더기가 없는 된장 물(육수)은 맑은 게 아니라 고운 겁니다.
'곱다'는
"만져 보는 느낌이 거칠지 아니하고 보드랍다."는 뜻으로
고운 모시, 고운 소금, 가루를 곱게 빻다처럼 씁니다.
반대말을 '거칠다'정도 될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 7시 10분쯤 KBS2에서 '맑은 육수'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그 육수는 마산 아귀찜을 만들면서 여러 번 거른 된장 물을 쓴다는 것을 소개하면서 나왔는데,
아무리 봐도 '맑은 육수' 같지는 않았습니다.

'맑다'는
"잡스럽고 탁한 것이 섞이지 아니하여 환하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물이 맑다, 맑은 공기를 마신다처럼 씁니다.
뭔가 속이 훤히 보이거나 또렷할 때 쓰는 말입니다.
반대말은 '탁하다' 정도 되지 싶습니다.

텔레비전에 나온
된장을 세 번 걸러 건더기가 없는 된장 물(육수)은 맑은 게 아니라 고운 겁니다.
'곱다'는
"만져 보는 느낌이 거칠지 아니하고 보드랍다."는 뜻으로
고운 모시, 고운 소금, 가루를 곱게 빻다처럼 씁니다.
반대말을 '거칠다'정도 될 겁니다.

맑다와 곱다도 가르지 못하는 KBS2 방송,
그때 방송하시는 분들의 정신이 맑지 않았나 봅니다.
그렇죠? ^^*

그렇다고 사람이 맑지 않다거나 심성이 거칠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

참,
어제 방송에서 아나운서나 자막은 꼬박꼬박 '아귀'라고 하는데,
인터뷰하는 분들은 모두 '아구'라고 하더군요.
표준말과 현실이 이렇게 다릅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강남에서 건너온 콩이 '강남콩'이 아니라 '강낭콩'이 되었듯이,
아귀도 소리내기 편하게 아구라고 한다면
이 또한 복수표준어로 인정해 주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오늘은 문득 시를 소개하고 싶네요.

요즘 제 일터에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생 살을 도려내는 것 같은 아픔이 가슴을 짓누릅니다.


흔들바위


흔들린다 말하지 마라
지키기 위한 제자리 걸음이다

수없이 흔들어도
수없이 흔들려도
한 번도 벗어난 적 없으니
고단히 흔들지 마라

쉬 흔들리고
쉬 무너지는
가벼운 세상이라 할지라도
어떤 유혹에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으리

나를 흔들 수 있는 건
오로지 그대 뿐



최철영 님의 길을 묻는다는 시집에 나오는 시입니다.
내친김에 하나 더 소개할게요.


길을 묻는다


바람이 불어가듯
살다가는 세상 나들이
길을 찾지 못하고
길에서 길을 헤맨다

무엇을 쫓는 것일까
무엇에 쫓기는 것일까
총총히 사라지는 사람들
길을 물어보지만
보일 듯 보이지 않고

물어 물어,
돌고 돌아,
찾아가는 길
나에게도 길을 묻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5
1376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578
1375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578
1374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578
1373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78
1372 [2007/04/18] 우리말) 아이고머니나...... id: moneyplan 2007-04-19 3578
1371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76
1370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76
1369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75
1368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3575
1367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75
1366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74
1365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74
1364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3574
1363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73
1362 [2008/11/12] 우리말) 한철과 제철 id: moneyplan 2008-11-12 3573
1361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72
1360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572
1359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572
1358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571
1357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