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조회 수 3611 추천 수 96 2008.04.29 10:52:18
텔레비전에 나온
된장을 세 번 걸러 건더기가 없는 된장 물(육수)은 맑은 게 아니라 고운 겁니다.
'곱다'는
"만져 보는 느낌이 거칠지 아니하고 보드랍다."는 뜻으로
고운 모시, 고운 소금, 가루를 곱게 빻다처럼 씁니다.
반대말을 '거칠다'정도 될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 7시 10분쯤 KBS2에서 '맑은 육수'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그 육수는 마산 아귀찜을 만들면서 여러 번 거른 된장 물을 쓴다는 것을 소개하면서 나왔는데,
아무리 봐도 '맑은 육수' 같지는 않았습니다.

'맑다'는
"잡스럽고 탁한 것이 섞이지 아니하여 환하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물이 맑다, 맑은 공기를 마신다처럼 씁니다.
뭔가 속이 훤히 보이거나 또렷할 때 쓰는 말입니다.
반대말은 '탁하다' 정도 되지 싶습니다.

텔레비전에 나온
된장을 세 번 걸러 건더기가 없는 된장 물(육수)은 맑은 게 아니라 고운 겁니다.
'곱다'는
"만져 보는 느낌이 거칠지 아니하고 보드랍다."는 뜻으로
고운 모시, 고운 소금, 가루를 곱게 빻다처럼 씁니다.
반대말을 '거칠다'정도 될 겁니다.

맑다와 곱다도 가르지 못하는 KBS2 방송,
그때 방송하시는 분들의 정신이 맑지 않았나 봅니다.
그렇죠? ^^*

그렇다고 사람이 맑지 않다거나 심성이 거칠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

참,
어제 방송에서 아나운서나 자막은 꼬박꼬박 '아귀'라고 하는데,
인터뷰하는 분들은 모두 '아구'라고 하더군요.
표준말과 현실이 이렇게 다릅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강남에서 건너온 콩이 '강남콩'이 아니라 '강낭콩'이 되었듯이,
아귀도 소리내기 편하게 아구라고 한다면
이 또한 복수표준어로 인정해 주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오늘은 문득 시를 소개하고 싶네요.

요즘 제 일터에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생 살을 도려내는 것 같은 아픔이 가슴을 짓누릅니다.


흔들바위


흔들린다 말하지 마라
지키기 위한 제자리 걸음이다

수없이 흔들어도
수없이 흔들려도
한 번도 벗어난 적 없으니
고단히 흔들지 마라

쉬 흔들리고
쉬 무너지는
가벼운 세상이라 할지라도
어떤 유혹에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으리

나를 흔들 수 있는 건
오로지 그대 뿐



최철영 님의 길을 묻는다는 시집에 나오는 시입니다.
내친김에 하나 더 소개할게요.


길을 묻는다


바람이 불어가듯
살다가는 세상 나들이
길을 찾지 못하고
길에서 길을 헤맨다

무엇을 쫓는 것일까
무엇에 쫓기는 것일까
총총히 사라지는 사람들
길을 물어보지만
보일 듯 보이지 않고

물어 물어,
돌고 돌아,
찾아가는 길
나에게도 길을 묻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67
1336 [2008/12/05] 우리말) 강추위 id: moneyplan 2008-12-05 3653
1335 [2008/06/04] 우리말) 팔방미인과 두루치기 id: moneyplan 2008-06-05 3653
1334 [2014/11/12] 우리말) 핏줄 쓰이다 머니북 2014-11-12 3652
1333 [2014/03/25] 우리말) 케케묵다 머니북 2014-03-25 3652
1332 [2013/11/12] 우리말) 잿밥과 젯밥 머니북 2013-11-12 3652
1331 [2009/11/02] 우리말) 대강 넘기려고... id: moneyplan 2009-11-02 3652
1330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650
1329 [2016/10/31] 우리말) 치매 머니북 2016-11-01 3650
1328 [2009/11/20] 우리말) 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11-20 3650
1327 [2012/06/08] 우리말) 센티미터 머니북 2012-06-08 3649
1326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649
1325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3648
1324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3648
1323 [2014/11/04] 우리말) 늘키다 머니북 2014-11-04 3647
1322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647
1321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647
1320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645
1319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645
1318 [2014/09/25] 우리말) 언뜻/얼핏 머니북 2014-09-25 3644
1317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