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507 추천 수 96 2008.05.10 10:32:16
단숨에 층계를 다 오르려 용쓰지 말고
힘에 부칠 즈음 잠시 쉬는 느긋함도 갖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나서 또 가고... 그러다 힘들면 또 좀 쉬고... 뭐 이렇게 살면 어떨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침 7:33 KBS 뉴스에서 '시작한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지'가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낼 때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 집을 떠나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처럼 씁니다.

벌써 금요일입니다.
세상이 바삐 돌아가니 저도 덩달아 정신없이 사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마음 다잡고 건강도 잘 챙겨야지 싶습니다.

우리말에 '참'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거짓에 맞서는 참도 있지만,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
"일을 시작하여서 일정하게 쉬는 때까지의 사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이나 끼니때가 되었을 때에 먹는 음식"
"길을 가다가 잠시 쉬어 묵거나 밥을 먹는 곳"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건물에 오르다 보면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때가 잦습니다.
거의 모든 계단은 층을 반쯤 올라가서 약간 넓은 공간을 두고 방향을 바꿔 다시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바로 그 공간,
"층계의 중간에 있는 좀 넓은 곳"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 문제를 낸 것은
살아가면서 넉넉함을 찾고
가끔은 눈을 들어 멀리 초록으로 물든 산도 좀 보고 살자는 뜻에서 입니다.

단숨에 층계를 다 오르려 용쓰지 말고
힘에 부칠 즈음 잠시 쉬는 느긋함도 갖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나서 또 가고... 그러다 힘들면 또 좀 쉬고... 뭐 이렇게 살면 어떨까 싶습니다.

맨 처음 문제를 맞히신 분께 우리말 편지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어제 보내드린 편지를 보시고 아래와 같은 답장을 주셨네요.

보내신 분 : kswon???

위 글에서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쓰셨는데 '지금 열차가 들어옵니다.'라고 쓰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이수열 선생께서는 선생이 쓰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말 바로 쓰기' 279쪽에
<우리말다운 논리로 판단하면 '움직임'이나 '상태'는 모두 그 자체가 찰나에 끝나지 않고 잠시라도 지속(진행)하는 것이므로,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계속 진행함'을 뜻하는 말을 덧붙일 필요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예를 들면, 아이가 논다(잔다, 운다, 젖을 먹는다)고 할 때, 그 표현은 자체에 놀거나 자거나 울거나 젖 먹는 행동을 계속하는 뜻이 있으므로
'아이가 놀고 있다, 자고 있다, 울고 있다, 젖을 먹고 있다'고 할 필요가 없다.
정 성에 차지 않으면, 동사 서술어 앞에 계속, 마냥, 아직도, 여전히 따위 부사어를 쓰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영어의 'be ~ing'형을 흉내 낸 것--- 중략 --- 마치 우리말을 서투르게 배워 쓰는 외국인 말 같은 표현은 피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공감합니다.
광주광역시 지하철 안내말에 "00행 열차가 들어 오고 있습니다"라고 해서 "00행 열차가 들어 옵니다"로 바꿔야 한다고 광주지하철공사에 비공식으로 건의했으나 받아드려지지 않습니다. 안타 깝습니다.
성 선생님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이런 글을 보내주셨네요.
좋은 내용이라 여러분과 함께 보고 싶어서 소개합니다.
저도 이분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4
1456 [2015/09/14] 우리말) 꺼메지다와 까매지다 머니북 2015-09-14 3510
1455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10
1454 [2017/01/24] 우리말) 서덜/서더리 머니북 2017-01-24 3511
1453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13
1452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13
1451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14
1450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14
1449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15
1448 [2007/12/30] 우리말) 내광쓰광 id: moneyplan 2007-12-31 3515
1447 [2007/08/13] 우리말) 고추 이야기 id: moneyplan 2007-08-13 3516
1446 [2015/06/17] 우리말) 숨탄것 머니북 2015-06-22 3516
1445 [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11-09 3517
1444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517
1443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3518
1442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19
1441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20
1440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3520
1439 [2015/05/04] 우리말) '집안'과 '집 안' 머니북 2015-05-04 3520
1438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21
1437 seernews 운영자의 링크(link)가 있는 이야기 id: moneyplan 2008-11-11 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