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16] 우리말) 게와 개 가르기

조회 수 3815 추천 수 90 2008.05.23 00:10:52
따라서,
내비게이션을 길찾개라고 바꾸는 것은 문법에도 맞는 참으로 멋진 말입니다.
더 나가서
포클레인을 굴착기니 굴삭기니 따지지 말고 '땅파개'로 하면 쉽고,
컨베이어나 캐리어를 '나르개'로 바꾸면 멋지고,
필터나 여과기는 '거르개'로 바꾸면 낫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어제 어떤 분이 '내비게이션'을 '길찾개'로 다듬으면 어떻겠냐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비록 국립국어원에서 '길도우미'로 다듬기는 했지만 그건 왠지 길을 안내하는 기계가 아니라 사람을 뜻하는 것 같다면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제 보낸 편지에서 병따개와 병따게 가운데 어떤 게 맞느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병따개/병따게, 덮개/덮게, 지우개/지우게, 가리개/가리게, 마개/마게
지개/지게, 집개/집게, 족집개/족집게, 베개/베게
에서
윗줄은 앞에 있는 낱말이 옳고,
아랫줄은 뒤에 있는 낱말이 바릅니다.

오늘도 '게'와 '개'를 좀더 알아볼게요.

좀 뭉뚱그려서 갈라보면,
'게'는
움직씨(동사) 지다, 집다, 베다 따위에만 붙어 이름씨(명사)를 만들지만,
'개'는
거의 모든 움직씨에 붙어 그러한 사람, 사물, 연장이라는 뜻을 더합니다.
오줌싸게, 코흘리개가 그러한 사람을 뜻하고,
찌개, 병따개, 덮개, 지우개 따위가 그러한 사물이나 연장을 뜻하겠죠.
비행기에 붙은 날개도 그렇게 보면 쉽게 풀립니다. 날다에 개가 붙어 나는 물건이 된 거죠.

따라서,
내비게이션을 길찾개라고 바꾸는 것은 문법에도 맞는 참으로 멋진 말입니다.
더 나가서
포클레인을 굴착기니 굴삭기니 따지지 말고 '땅파개'로 하면 쉽고,
컨베이어나 캐리어를 '나르개'로 바꾸면 멋지고,
필터나 여과기는 '거르개'로 바꾸면 낫지 않나요?

누군가는 그러겠죠.
이미 우리말로 굳어진 필터나 캐리어, 컨베이어, 포클레인을 꼭 '개'를 붙여 어색하게 우리말로 바꿔야 하냐고...

그분들에게 여쭙고 싶습니다.
태권도 구령에는 우리말이 한 100개쯤 있다고 합니다.
다른 나라에서 태권도를 배워도 우리말로 구령하고, 국제경기에서도 우리말로 구령합니다.
이것을 어떻게 봐야 하죠?
한쪽에서는 다른 나라 말을 가져오고, 다른 한 쪽에서는 우리말을 다른 나라로 퍼 나르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쟁이/장이]

오늘은 분당에 출장 갑니다.
이 좋은 날씨에 바람 쐬는 기분으로 다녀오겠습니다.

오늘은 아주 쉬운 겁니다.
‘쟁이’와 ‘장이’를 가르는...

표준어 규정 제9항에 있는 내용인데요.
기술자는 ‘장이’를 쓰고 기술자가 아니면 ‘쟁이’를 씁니다.

좀더 깊게 보면,
‘장이’는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간판장이/땜장이/미장이/옹기장이/칠장이처럼 씁니다.

‘쟁이’는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겁쟁이/고집쟁이/떼쟁이/멋쟁이/무식쟁이처럼 쓰죠.

여기까지가 사전에서 따온 내용입니다.

이 기준에 따라 ‘점장이’가 맞는지 ‘점쟁이’가 맞는지 갈라 보세요.
또, 양복쟁이와 양복장이는 어떻게 가르죠?

저는 이렇게 가릅니다.
‘장이’가 장이 장(匠) 자를 쓰므로,
수공업 기술자에게는 ‘장이’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쟁이’를 쓰는 거죠.

이제 다시 점장이/점쟁이, 양복쟁이/양복장이를 갈라보죠.
점을 치는 사람은 어떤 수공업 기술을 가진 게 아니므로 ‘점쟁이’가 맞고,
양복 만드는 기술을 가진 사람은 수공업 기술이 있으므로 ‘양복장이’이며,
양복만 주로 입는 사람은 기술과 상관없으므로 ‘양복쟁이’입니다.
‘점장이’는 없는 낱말이고,
‘양복장이’와 ‘양복쟁이’는 둘 다 표준어입니다.

구별하기 쉽죠?

오늘도 즐겁게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51
1916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79
1915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878
1914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878
1913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877
1912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875
1911 [2007/03/31] 우리말) 편지 몇 통 id: moneyplan 2007-04-02 3875
1910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73
1909 [2015/12/03] 우리말) 지레/지례 머니북 2015-12-07 3869
1908 [2012/06/04] 우리말) 선글라스 머니북 2012-06-04 3867
1907 [2011/04/15]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moneybook 2011-04-15 3867
1906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66
1905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66
1904 [2011/04/18] 우리말) 내 남편과 우리 남편 moneybook 2011-04-18 3865
1903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63
1902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62
1901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61
1900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59
1899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58
1898 [2009/11/30]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11-30 3856
1897 [2008/10/12] 우리말) 기다와 아니다 id: moneyplan 2008-10-13 3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