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4] 우리말) 거방지다

조회 수 3415 추천 수 105 2008.06.24 12:53:54
흔히 "매우 푸지다"는 뜻을 말할 때 '걸판지다'고 합니다.
음식 따위의 가짓수가 많고 푸짐할 때 '걸다'고 하는데,
그 '걸다'와 일이 벌어진 자리를 뜻하는 '판'을 합쳐 '걸판지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거방지다'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6월이 끝나가니 퇴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이번 주는 여기저기서 그분들께 인사드리러 다녀야겠습니다.
거의 다 30년 정도 공직에 계시다 퇴직하시는 분들입니다.
퇴직하시고도 언제나 건강하게 보내 기실 빕니다.
이런저런 고생을 많이 하시고 떠나시는 분들께 저는 거방진 저녁을 모시겠습니다.

흔히 "매우 푸지다"는 뜻을 말할 때 '걸판지다'고 합니다.
음식 따위의 가짓수가 많고 푸짐할 때 '걸다'고 하는데,
그 '걸다'와 일이 벌어진 자리를 뜻하는 '판'을 합쳐 '걸판지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거방지다'가 맞습니다.
거방지게 놀다, 거방지게 저녁을 냈다처럼 씁니다.

지금은 현직에서 떠나시지만
그 경험 잘 살리셔서 후배들에게 베풀어 주시고,
그런 베풂이 죽 이어질 수 있도록 언제나 건강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가파라 >> 가팔라]

요즘 저는 팔도유람을 하고 있습니다.
팔자가 좋아 팔도유람을 하는지,
아니면 팔자가 사나워 팔도를 싸돌아 다녀야 간신히 목구멍에 풀칠이라도 하는지...
어쨌든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덕분에 구경 잘하고 있습니다.

어제 어떤 지방도로를 달리는데,
‘여기는 절벽이 가파라 위험합니다’라고 쓰인 간판이 있더군요.

가파라... 뭔가 좀 이상하죠?
“산이나 길이 몹시 비탈지다”는 뜻의 낱말은
‘가파르다’입니다.
가파른 언덕길, 층계가 가파르니 조심해라처럼 씁니다.

이 낱말은,
[르] 불규칙 활용하는 형용사로,
뒤에 오는 낱말에 따라 [ㄹ]이 첨가됩니다.

가파르 어 > 가파ㄹ 어 > 가파ㄹ 아 > 가파ㄹ ㄹ아 > 가팔라 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산이 가팔라서 보통 사람은 오르기 어렵다처럼 써야 합니다.
가팔라, 가팔라도, 가팔라서, 가팔라야, 가팔랐다 따위로 써야 합니다.

좀 헷갈리나요?
벼르다 >> 별러
지르다 >> 질러
빠르다 >> 빨라
조르다 >> 졸라
다 비슷한 녀석들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87
1716 [2008/01/03] 우리말) 풋낯 id: moneyplan 2008-01-03 3427
1715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427
1714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427
1713 [2009/10/28] 우리말) 동서남북 id: moneyplan 2009-10-28 3427
1712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27
1711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3427
1710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427
1709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27
1708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28
1707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428
1706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428
1705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429
1704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429
1703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29
1702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1701 [2012/10/30]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 머니북 2012-10-30 3430
1700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430
1699 [2013/05/29] 우리말) 필자 머니북 2013-05-29 3431
1698 [2007/07/05]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7-07-05 3432
1697 [2009/08/07] 우리말) 할 뿐만 아니라 id: moneyplan 2009-08-14 3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