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4] 우리말) 거방지다

조회 수 3321 추천 수 105 2008.06.24 12:53:54
흔히 "매우 푸지다"는 뜻을 말할 때 '걸판지다'고 합니다.
음식 따위의 가짓수가 많고 푸짐할 때 '걸다'고 하는데,
그 '걸다'와 일이 벌어진 자리를 뜻하는 '판'을 합쳐 '걸판지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거방지다'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6월이 끝나가니 퇴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이번 주는 여기저기서 그분들께 인사드리러 다녀야겠습니다.
거의 다 30년 정도 공직에 계시다 퇴직하시는 분들입니다.
퇴직하시고도 언제나 건강하게 보내 기실 빕니다.
이런저런 고생을 많이 하시고 떠나시는 분들께 저는 거방진 저녁을 모시겠습니다.

흔히 "매우 푸지다"는 뜻을 말할 때 '걸판지다'고 합니다.
음식 따위의 가짓수가 많고 푸짐할 때 '걸다'고 하는데,
그 '걸다'와 일이 벌어진 자리를 뜻하는 '판'을 합쳐 '걸판지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거방지다'가 맞습니다.
거방지게 놀다, 거방지게 저녁을 냈다처럼 씁니다.

지금은 현직에서 떠나시지만
그 경험 잘 살리셔서 후배들에게 베풀어 주시고,
그런 베풂이 죽 이어질 수 있도록 언제나 건강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가파라 >> 가팔라]

요즘 저는 팔도유람을 하고 있습니다.
팔자가 좋아 팔도유람을 하는지,
아니면 팔자가 사나워 팔도를 싸돌아 다녀야 간신히 목구멍에 풀칠이라도 하는지...
어쨌든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덕분에 구경 잘하고 있습니다.

어제 어떤 지방도로를 달리는데,
‘여기는 절벽이 가파라 위험합니다’라고 쓰인 간판이 있더군요.

가파라... 뭔가 좀 이상하죠?
“산이나 길이 몹시 비탈지다”는 뜻의 낱말은
‘가파르다’입니다.
가파른 언덕길, 층계가 가파르니 조심해라처럼 씁니다.

이 낱말은,
[르] 불규칙 활용하는 형용사로,
뒤에 오는 낱말에 따라 [ㄹ]이 첨가됩니다.

가파르 어 > 가파ㄹ 어 > 가파ㄹ 아 > 가파ㄹ ㄹ아 > 가팔라 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산이 가팔라서 보통 사람은 오르기 어렵다처럼 써야 합니다.
가팔라, 가팔라도, 가팔라서, 가팔라야, 가팔랐다 따위로 써야 합니다.

좀 헷갈리나요?
벼르다 >> 별러
지르다 >> 질러
빠르다 >> 빨라
조르다 >> 졸라
다 비슷한 녀석들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77
1236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답장 moneybook 2010-12-18 3418
1235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18
1234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18
1233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418
1232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17
1231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416
1230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416
1229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16
1228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15
1227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3414
1226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14
1225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414
1224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14
1223 [2014/04/17] 우리말) 풋낯 머니북 2014-04-17 3413
1222 [2012/12/07] 우리말) 영어 교육 머니북 2012-12-10 3413
1221 [2012/02/01] 우리말) 제연경계벽 머니북 2012-02-02 3413
1220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413
1219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11
1218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11
1217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