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조회 수 3686 추천 수 96 2008.07.15 09:47:01
독도는 동해에 있는 외로운 섬이 아니라 돌로 된 섬입니다.
사진이나 텔레비전을 보면 독도가 돌로 된 섬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잖아요.
'돌'을 전라도에서는 '독'이라고 합니다. 지금도 그렇습니다.
독도에 처음 살게 된 사람들이 전라도 사람들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돌로 된 섬인 '돌섬'이 '독섬'이 된 거죠.


안녕하세요.

어제 소개한 이외수 님의 글에 나온 '캐안습'이 무슨 뜻이냐고 물으시는 분이 많으시네요.
저도 잘 몰라 여기저기 뒤져 봤습니다.

'안습'이란 말은 한자로는 눈 안(眼) 자와 젖을 습(濕) 자를 써,
눈에 눈물이 고일 정도로 딱하다는 뜻이라네요.
'캐안습'은 '안습'을 강조하고자 '캐(원래는 개(犬))를 덧붙였다고 합니다.

오늘도 덥겠죠? 이 더운 날씨에 일본이 짜증을 더하네요.
일본이 교과서 해설서에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했네요.
이건 높은 양반 한두 명의 망언이 아니라 교과서를 만드는 공식 지침이라서 문제가 더 크다고 봅니다.
언제까지 이런 짓을 보고만 있어야 하는지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독도를 獨島라 썼습니다.
동해에 있는 외로운 섬이라 푼 거죠.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는 독도를 싣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독도는 동해에 있는 외로운 섬이 아니라 돌로 된 섬입니다.
사진이나 텔레비전을 보면 독도가 돌로 된 섬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잖아요.
'돌'을 전라도에서는 '독'이라고 합니다. 지금도 그렇습니다.
독도에 처음 살게 된 사람들이 전라도 사람들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돌로 된 섬인 '돌섬'이 '독섬'이 된 거죠.

우리말로 그냥 '독섬'이라 하면 될 것을 1906년에 울릉군수가 독을 독(獨)으로 보고 독도(獨島)라고 한 게 지금까지 온 겁니다.
억지로 한자말을 써서 일을 망친 거죠.

중요한 것은,
독도에는 풀이나 좀 자랄 수 있을 뿐이지, 절대 대나무는 없다는 겁니다.
돌로 된 독섬이 독도이지, 대나무가 자라는 죽도(竹島)는 결코 독도가 아닙니다.

일본의 이런 '땐깡'을 보면서 느끼는 게 있습니다.
그냥 우리말로 두면 될 것을 왜 억지로 한자로 써서 일을 그르치는지...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하나... 노랫말이 얼마나 중요한지...
나라에서 만든 사전에 독도(獨島)라 되어 있는 것을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보면 뭐라고 할지...

'땡깡'부리는 일본도 밉지만, 우리도 반성할 게 많습니다.
이번에는 어물쩍 넘어가지 말고 제발 제대로 좀 하길 빕니다.
다시는 이런 말이 나오지 않도록 제대로 명토박아 둬야 합니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이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파토 >> 파투]

지난주에는 오랜만에 화투를 쳤습니다.(‘화토’가 아닙니다.)
주중에는 학교 선배 집알이 갔다가 새벽까지...
주말에는 친척 집에 갔다가 새벽까지...

저는 화투 실력이 없어서 늘 잃는 편인데요.
7장을 손에 들고 이것저것 패를 맞춰가다가,
운 좋게 약이라도 할라치면 남들은 벌써 점수가 나서 ‘원 고’를 외치고 있습니다.
그런 때는 조용히 속으로 기도하죠.
제발 화투 장수가 맞지 않거나, 바닥 패가 맞지 않아라,
그것도 아니면 치는 순서라도 바꿔서 제발 ‘파토’나 나버려라...
‘나가리’ 돼서 다시 치게...

우리말 편지를 보낸다는 제가 무슨 글을 쓰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어쨌든 오늘 드릴 말씀은
“화투 놀이에서 잘못되어 판이 무효가 됨. 또는 그렇게 되게 함”이라는 뜻의 낱말은,
‘파토’가 아니라 ‘파투(破鬪)’입니다.
파투가 나다/파투를 놓다처럼 씁니다.

사실은 이 ‘파투’를 설명하려고 글을 썼는데,
다른 낱말까지 더 설명해야겠네요.

패 : 화투나 투전에서 각 장. 또는 그것이 나타내는 끗수 따위의 내용. 패를 돌리다/패가 나쁘다/패가 좋다
기리(棋理/碁理) :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서, 수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이치.
끗 : 화투나 투전과 같은 노름 따위에서, 셈을 치는 점수를 나타내는 단위. 다섯 끗.
끗발 : 노름 따위에서, 좋은 끗수가 잇따라 나오는 기세. 끗발이 나다/끗발이 오르다/끗발이 서야 돈을 딸 수 있을 텐데
개평 : 노름이나 내기 따위에서 남이 가지게 된 몫에서 조금 얻어 가지는 공것
여기까지는 우리 사전에 있는 표준말입니다.

아무 쓸모없는 하찮은 것을 비유적으로 “흑싸리 껍데기”라고도 합니다.
‘흑사리’는 화투에서 검을 싸리를 그린 화투장을 말하죠.
다섯 끗짜리 한 장과 열 끗짜리 한 장, 껍데기 두 장입니다.
이 중 껍데기 두 장은 점수 나는 데 별 도움이 안 되죠. 그래서 쓸모없는 하찮은 것을 비유하여, “흑싸리 껍데기”라고 합니다.

아래는 쓰지 말아야 할 일본말입니다.
고토리(ごとり,五鳥) : 다섯 마리 새라는 뜻. 고스톱에서, 매화, 흑싸리, 공산 명월의 열 끗짜리 석 장으로 이루어지는 약. ‘고스톱’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은 참새, 동박새, 종다리 등과 같은 화투장에 그려져 있는 작은 새라는 뜻으로 小鳥(こ-とり)라고 주장하기도 함.
기리(きり,切り) : ‘자르다’는 뜻이 있는 ‘키루(きる,切る)’의 명사형으로 ‘자름’이라는 뜻. 곧, 다른 선수들이 잘되지 않도록 맥을 끊어서 자기차례에 더욱더 잘되도록 하기 위함.
나가레(ながれ, 流れ) : 흐르다는 뜻의 ‘나가레루(ながれる,流れる)’에서 온 말로 ‘흘려보내자!’라는 말. 곧, 이번 판은 그냥 없던 것처럼 흘려보내고, 재시합을 하자는 뜻. 깨짐, 허사, 무효로 바꿔서 써야할 일본말. 흔히 ‘나가리’라고 함.
쇼당(しょうだん,商談) : 본래는 상업적인 상담을 뜻함. 일반적인 상담은 ‘소당(そうだん,相談)’. 곧, 화투판에서 우열을 서로 상담하여 없던 것으로 하자는 말.

오늘 편지는 좀 거시기 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7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0
1096 [2008/12/19]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id: moneyplan 2008-12-19 3673
1095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674
1094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74
1093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75
1092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76
1091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676
1090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76
1089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6
1088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76
1087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77
1086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77
1085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77
1084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77
1083 [2016/07/12] 우리말) 수근거리다 -> 수군거리다 머니북 2016-07-13 3677
1082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78
1081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679
1080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79
1079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679
1078 [2011/03/24] 우리말) 여우비 moneybook 2011-03-24 3679
1077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