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17]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조회 수 2951 추천 수 123 2008.07.17 08:46:25
중요한 것은,
압화, 누름꽃, 꽃누르미 모두 아직 사전에는 오르지 못했습니다.
요즘 국립국어원에서 사전을 다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 사전에는 '압화'를 넣지 말고 '누름꽃'과 '꽃누르미'만 넣기를 빕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시 덥다죠? 걱정입니다.

어제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깨나른하다'와 비슷한 뜻을 지닌 낱말은 '께너른하다'가 아니라 '께느른하다'입니다.
김정기 님께 감사드립니다.

어제 자료 찾을 게 있어 누리집을 좀 싸돌아 다니다 보니 구례군에서 대한민국 압화대전을 했다는 게 나오네요.
오늘은 '압화'를 알아볼게요.

'압화'는
꽃이나 식물 따위의 수분을 없앤 뒤 말려서 눌러 꽃의 새로운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영어로는 Pressed flower라고 하는데 이 말을 우리가 받아들이면서 '압화(押花)'라고 한 게 굳어진 겁니다.
1980년대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하고, 1990년대부터 일반에 퍼지기 시작했나 봅니다.
처음 우리나라에 받아들이면서 왜 그런 한자로 받아들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압화라 하지 않고 '누름꽃'이라 하거나 '꽃누르미'라고 합니다.
한국꽃누르미협회도 있습니다. 참 좋은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압화, 누름꽃, 꽃누르미 모두 아직 사전에는 오르지 못했습니다.
요즘 국립국어원에서 사전을 다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 사전에는 '압화'를 넣지 말고 '누름꽃'과 '꽃누르미'만 넣기를 빕니다.

사회에서는 압화를 덜 쓰고 꽃누르미와 누름꽃을 쓰려 힘쓰는데,
국가기관에서 사전을 만들면서 압화는 표제어로 올리고 꽃누르미와 누름꽃을 빼버리지는 않겠죠?

내친김에 하나 더 볼게요.
야생화입니다.
야생화는 野生花로 들에 피는 꽃입니다.
이를 '들꽃'이라고 하면 더 멋진 향이 나는 것 같지 않나요?

구례군 야생화 압화대전보다는
구례군 들꽃 꽃누르미나 들꽃 꽃누름이 더 멋있지 않나요?
구례에 가면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야생화 압화전시관이 있습니다.
이것도 들꽃 꽃누르미 마당으로 바꾸면 어떨까요?

제 생각에는
야생화나 압화 보다는
들꽃과 꽃누름이 사람을 더 끌 것 같은데 그렇지 않나요?

이렇게 좋은 우리말을 두고 왜 영어나 한자를 좇는지 모르겠습니다.
내 집안에 멋진 수석이 있는데,
미국 개천에서 가져온 돌을 미제나 외국산이라고 좋아하는 꼴은 또 뭔지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일대/일부/일원]

저는 오늘부터 내일까지 회사 직원들과 함께,
지난 폭설로 피해를 본 농가에 일손을 도우러 갑니다. 무너진 하우스를 치우러 가는 거죠.
(‘피해를 당한’이라고 하지 마세요.)

며칠 전에 행정실 직원에게 어디로 가는지 물어봤더니,
‘전북 고창 일대’로 간다고 하더군요.
저 말이 맞다면, 이틀간 고생깨나 하겠군...

어제 안 것이지만, 다행히 ‘고창 일대’로 가지는 않더군요.
‘고창 일대’로 가는 게 아니라 ‘고창 일부’로 갑니다.

흔히,
어느 지역이나 일정한 범위의 일부분을 말 할 때,
‘OO일대’라는 말을 씁니다.
그러나 이 ‘일대’라는 말은 일부분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일대(一帶)는,
“일정한 범위의 어느 지역 전부”를 말합니다.
남부 지방 일대에 가뭄이 극심하다./동해안 일대에 태풍 주의보를 내렸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고창 ‘일대’로 일손을 도우러 가면,
고창 지역 전체를 돌며, 무너진 하우스를 철거한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니 당연히 고생깨나 할 각오부터 해야죠.

일부(一部)는,
“일부분”으로, 일부 지역/제도의 일부만 개선하다/물건의 일부가 파손되다/지하철의 일부 구간이 공사 중이다처럼
말 그대로 일부만을 말합니다.
또,
일원(一圓)은,
“일정한 범위의 지역”을 뜻해,
서울 일원에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처럼 씁니다.

일기예보에서,
남부지방 일대에 눈이 내릴 예정이라면, 남부지방 전체에 눈이 올 예정이며,
남부지방 일부나 일원에 눈이 내릴 예정이라면, 남부지방 중 일부 지역에 눈이 올 예정을 말하는 겁니다.

제 일손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열심히 돕고 오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8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400
556 [2008/08/18] 우리말) 늘상과 늘 id: moneyplan 2008-08-18 3274
555 [2008/08/14]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08-08-14 3042
554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471
553 [2008/08/1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로마자 쓰기 id: moneyplan 2008-08-13 3184
552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413
551 [2008/08/07]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밀국수 id: moneyplan 2008-08-07 3560
550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545
549 [2008/08/05] 우리말) 리더쉽과 리더십 id: moneyplan 2008-08-05 4935
548 [2008/08/04] 우리말) 답은 터앝입니다 id: moneyplan 2008-08-04 3504
547 [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8-01 3827
546 [2008/07/31] 우리말) 벼슬과 볏 id: moneyplan 2008-07-31 3144
545 [2008/07/30] 우리말) 에너지를 아끼는 데 함께하고자... id: moneyplan 2008-07-31 3028
544 [2008/07/28]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id: moneyplan 2008-07-29 3114
543 [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8-07-25 4818
542 [2008/07/24] 우리말) 얄짤없다 id: moneyplan 2008-07-25 3295
541 [2008/07/23] 우리말) 내셍기다 id: moneyplan 2008-07-23 3851
540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455
539 [2008/07/21]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7-21 3204
538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3299
» [2008/07/17]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id: moneyplan 2008-07-17 2951